법정공휴일이 아닌 한글날은 참 어색하다. 열없기도 하다. 그 의미를 기리는 정도가 이렇게 ‘조정(調整)’된 것인가? 그러고 보니 한글날이란 표지조차 어떤 달력에는 없다. 별 의미가 없는 것인가? 그러나 한글날이 다가오면 뭔가 우리 말글에 관해 생각해보고 싶어진다. 

이견도 없지는 않겠지만, 한국방송공사(KBS)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방송사 중의 하나다.
다른 사안은 몰라도 이 방송사의 아나운서나 기자가 방송에서 들려주는 언어는 대한민국의 표준적인 언어일 것이다. 특히 밤 9시의 ‘KBS뉴스9’는 이 방송사 뉴스의 간판이다.

이 뉴스의 진행자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이들의 발음은 우리 생활언어의 표준으로 간주될 수도 있다. 아마 방송사 측에서도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인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 그런데 이 뉴스의 남자 진행자와 여자 진행자의 발음이 다른 경우가 잦다.

10월5일 남자는 [배추]라고 짧게 말했다. 바로 다음 여자는 [배:추]라고 ‘배’를 길게 발음했다. 글로 쓰면 안 보이지만 들을 때의 차이는 또렷하다. 얼마 전 남자는 [사대강]이라고 사대강(四大江)을 읽었고, 여자는 [사:대강]이라고 읽었다. 두 경우 다 여자가 옳다.

음의 길고 짧음 즉 발음의 장단(長短)은 말 배우는 초기단계부터의 바른 습득이 열쇠다. 굳어진 다음에는 고치고자 해도 쉽지 않다. 또 같은 글자인데도 다른 뜻을 가리키는 단어가 여럿인 경우, 그 차이를 구분하는 방법으로 발음의 장단은 중요하다.

몇 초, 몇 분 전후로 들리는 이 진행자(아나운서) 두 사람의 발음이 다르면 시청자들은 헷갈릴 수밖에 없다. 위의 두 가지 경우만이 아니다. 우선은 발음을 정확하게 배운 사람의 말을 따라하도록 방송사는 급히 조치해야 할 줄 안다.

KBS는 프로그램으로도 우리말을 진흥한다고 ‘홍보’한다. 여러 프로그램이 효과를 얻고 있는 것으로 안다. 또 한국어 시험도 개발해 일반인과 입사시험 따위를 준비하는 학생 등을 대상으로 그 성가를 높여가고 있다.

그러나 정작 방송을 진행하는 인원들 중 일부는 우리말을 바르게 구사하는데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방송국의 직원이 아닌, 연예인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은 입을 열어 말하기도 싫을 정도로 한심하다. 그러나 기자 등 직원의 경우는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9월30일 배추값 파동에 업체들이 중국서 배추를 ‘공수’한다는 뉴스가 자막 함께 떴다. 공수(空輸)는 항공수송이란 말, IT제품 부속품처럼 비행기로 배추를 들여온다고? 이 기자도, 아나운서도 말뜻도 모르면서 ‘말’을 쓴다. ‘언어 사용 면허증’이라도 만들어야 하나?

9월28일에는 기자가 부동산 사정을 보도하며 “전세 [물껀]도 조금밖에 안 된다”고 했다. 물껀이란 말이 따로 있나 확인해 봤다. 물건(物件)을 그렇게 읽는 모양인데, 한 공인중개사에게 물으니 “부동산(중개업소)에서는 다 물껀이라고 한다”고 했다. 이 사람, 기자 맞아?

기자의 글(기사)은 간부나 선임자등 고참들이 꼼꼼히 톺아 사실관계 문법 어법 정서 등의 적절성을 검토한다. 외국어여서 멋쩍지만 이 일을 데스크(desk)라고 한다. KBS에는 이 과정이 없나보다. 그러면서 한글날에 ‘우리 말글 제대로 쓰자’는 특집 프로그램은 방송됐다.                  강상헌 기자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