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가 교육인적자원부가 지정하는 ‘2006년도 평생학습도시’로 지난달 26일 선정되었다. 평생학습도시란 말 그대로 도시 구성원이라면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해당 도시에서 학습이 가능한 평생학습체제가 구축된 도시라고 말할 수 있다.

지식기반 사회와 지방화로 특징 지워지는 현대 사회에서는 도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민의 지적역량과 창의력을 극대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국가적, 사회적 과제로 되고 있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평생학습을 위한 제도적, 물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평생학습도시’ 사업을 전개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방향이라 말할 수 있다.

외국에서는 1979년 일본 가케가와시에서 학습도시를 선언한 이후 영국, 독일, 캐나다 등 전세계적으로 평택학습도시 열풍이 일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 경남 창원시에서 평생교육관련 조례를 제정하면서 이 사업이 시작된 후 1999년에 광명시가 대한민국 최초로 평생학습도시를 선언하면서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2001년부터는 교육인적자원부에서 국가정책으로 추진해 2006년 현재까지 평택을 포함해 전국 57개 지방자치단체가 평생학습도시로 선정되었다. 경기도에서는 광명, 부천, 용인, 평택을 포함해 9개 도시가 선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2008년까지 전국 100개 지자체를 평생학습도시로 선정할 계획이라고 한다.

평택시는 이번 선정을 계기로 올해 5천만원의 국비지원을 포함해 2억6천만원, 내년도 10억원 등을 순차적으로 투자해 평택지역 교육 중장기 종합계획 수립, 평생학습센터 구축 등 다양한 사업을 벌일 계획이라고 한다. 특히 미군기지 이전에 따른 도시의 부정적 이미지를 불식하고 평택지역개발계획 및 정보과학화 종합계획과 연계해 체계적인 평생학습 교육기반을 조성해 국제화 교육 중심도시로 변모하겠다는 계획이다.

우리는 평택시가 명실상부한 평생학습도시로 발전되기를 바라면서, 두 가지 점을 이 시점에서 당부하고 싶다. 가장 중요한 것은 행정기관은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지원기관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는 것이다.

관(官) 주도하는 사업, 공무원의 사고와 판단으로 일방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은 실패하기 쉽다. 뜻이 좋아도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해 내지 못하면, 평생학습도시는 시행정의 치적을 홍보하는 홍보수단으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행정기관은 기반시설 등 인프라 구축에 역점을 두고, 각종 프로그램의 확보와 인적 네크워크 구성 등에는 민간단체나 개인의 광범위한 참여를 유도해 내야 한다.

또한 무엇보다 평생학습의 중요성에 대한 범시민적 인식 확산과 조건 마련에 앞장서야 한다. 세상에 자기발전을 위한 학습을 싫어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문제는 당장의 먹고사는 문제가 급하다보니 공부할 시간도 공부가 왜 필요한지 생각할 겨를도 없이 대부분의 성인들은 하루하루를 살아가고 있다.

꽃꽂이 강습과 같은 단순한 여가활용 교육이 아니라, 직업적 전망을 세우고 삶의 질을 풍부하게 하는 정보와 교양과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학습할 수 있는 시간적, 물적 조건이 확보되어 있어야 한다. 우선 공직사회부터 평생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고, 최근 유한킴벌리의 4교대제 실시와 평생학습이 조망 받는 것처럼 관내 기업과 사업체 등에서 학습할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할 수 있도록 행정기관에서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도 매우 필요하다.

아무쪼록 이번 평택시의 평생학습도시 선정을 계기로 공부하고 연구하는 도시, 학습과 재충전 속에서 삶의 질을 풍부하게 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의 경쟁력이 높아지는 평택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