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주택국 430억4783만원
안전건설교통국 1636억3364만원
평택시 2025년 본예산 살림살이 규모는 2조4314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18일 평택시의회 정례회에서 확정된 것으로 2024년 본예산 2조2936억원보다 1377억원(6.01%) 증가한 규모다.일반회계는 2조279억원으로 2024년보다 3.24%(635억원) 증가했고, 특별회계는 4034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22.54% (742억원) 증가했다.
본지는 7회에 걸쳐 2024년 예산이 평택시 각 부서에 어떻게 편성돼 어떤 사업에 쓰일지 살펴보고 있다. ‘2025 평택시 예산 어떻게 편성됐나’ 5번째 순서로 이번호에는 도시주택국과 안전건설교통국을 다룬다. 도시주택국 올해 예산은 430억4783만원으로 2024년 411억3018만원에 비해 19억1764만원이 늘었다. 안전건설교통국 예산은 1636억3364만원으로 전체 예산의 6.73%다. 지난해 예산 1545억1135만원보다 91억2229만원이 증가한 규모다.
도시주택국
도시주택국에는 도시계획과, 도시개발과, 건축허가과, 주택과, 토지정보과 등 5개과가 소속되어 있다. 올해 예산은 430억4783만원으로 2024년 411억3018만원에 비해 19억1764만원이 늘었다.
도시관리계획재정비 용역 8억5000만
경관계획 재정비 용역 2억7322만
가곡지구 환경영향평가 용역
7억7703만
공동주택단지 노후시설 보수 23억원
주거급여(국비)에 301억1333만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5억2000만
■도시계획과
먼저 미래지향적인 도시계획 수립과 품격있는 도시공간 조성, 효율적인 도시개발을 주 업무로 하는 도시계획과 예산은 17억5507만원이다. 전년도보다 11억7835만원이 줄었다. 2030 평택 도시관리계획 (재정비) 수립 용역에 지난해 15억원에 이어 올해 8억5000만원이 편성됐으며, 평택시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재수립 용역 1억7320만원, 평택시 경관계획 재정비 용역 2억7322만원, 도시계획위원회 운영 5160만원, 도시계획정보체계(UPIS) DB구축 및 관리 8000만원,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 DB구축 및 관리 8000만원, 도시디자인 관리체계 구축 5878만원 등이 편성됐다.
■도시개발과
도시개발과 예산은 32억1136만원으로 지난해 33억1123만원과 비슷한 규모다. 일반회계 예산은 2억213만원으로 민간제안 도시개발사업 조합업무 회계검사 2200만원, 도시개발사업지원 1150만원, 행정운영경비 1억6313만원 등에 사용된다. 특별회계사업으로 서재지구토지구획정리사업 일반운영비 5000만원, 서재지구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예탁금 15억227만원, 안중송담지구토지구획정리사업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예탁금 8044만원, 통복지구도시개발사업 통합재정안정화기금 예탁금 1억1808만원, 가곡지구 도시개발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 용역 1억784만원, 가곡지구 전략(보완) 및 환경영향평가 용역 7억7703만원, 가곡지구 교통영향평가 및 광역교통개선대책 수립 용역 3억5320만원 등이 편성됐다.
■건축허가과
건축허가과는 건축사 현장조사에 따른 수수료 3억6500만원, 마을회관 건립 및 정자 건립(개축)지원 2억1000만원, 마을회관 및 정자 개.보수 지원 1억원, 소규모 공동주택 보조금 지원사업 5억원, 주택 패시브 리모델링 지원사업(도비) 1억원, 농지전용 효율적 관리 2485만원 등 14억4493만원을 집행한다.
■주택과
주택과는 공동주택관리, 저소득층 주거안정지원, 취약계층 생활안정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하며, 올해 예산은 351억765만원으로 지난해보다 33억8399만원이 늘었다.
우선, 주택건설 및 관리에 33억5500만원이 사용된다. 세부적으로 공동주택단지 노후시설 보수 23억원과 공동주택 노후 승강기등 지원(의무대상)(도비) 2억4000만원, 공동주택 노후 승강기 지원(비의무대상)(도비) 1억2000만원, 경비.청소노동자 휴게시설 개선사업 2억원, 공동주택 노후 승강기등 지원(안전관련시설) 2억원, 불법 유해 광고물 정비(기간제) 보수 1억2067만원 등을 집행한다.
저소득층 주거안정지원을 위해 308억4133만원이 사용된다. 세부적으로 기초생활보장사업의 일환인 주거급여(국비)에 301억1333만원, 자가가구 수선유지비 6억9000만원, 장애인 주택개조사업에 3800만원이 사용된다. 주거취약계층 이사비 지원 2600만원, 위기가정 주거안정 지원사업 2000만원, 주거취약계층 주거상향지원사업(국비) 6000만원 등이 사용된다.
사회복지 기반조성을 위해서는 7억3600만원이 사용되는데,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국비) 5억2000만원,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지원 2억1600만원 등이다.
■토지정보과
토지정보과는 개별공시지가 조사 1억1616만원, 개별공시지가 조사(국비) 1억1587만원, 지적재조사사업 측량 수수료(국비) 2억6154만원, 지적재조사사업 3억7108만원, 도로명 및 건물번호 부여사업 1억1252만원, 도로명주소 기본도 유지관리(국가 직접지원) 6482만원, 국가주소정보시스템 유지관리(국가 직집지원) 5292만원, 주소정보시설 일제조사 7306만원, 부동산 관리체계 구축 8770만원, 시민편의 지적행정 운영 9117만원 등 15억2380만원을 쓴다.
안전건설교통국
1636억3364만원으로 전체 예산의 6.73%다. 지난해 예산 1545억1135만원보다 91억2229만원이 증가한 규모다. 부서별로 안전총괄과 118억4883만원, 건설도로과 103억6758만원, 도로관리과 149억1319만원, 교통행정과 209억7711만원, 대중교통과 1040억4363만원, 차량등록사업소 14억8328만원을 집행한다. 지난해에 비해 안전총괄과는 127억6453만원이 감소했고, 건설도로과는 56억5239만원이 감소했다. 반면 교통행정과는 68억7420만원, 대중교통과는 217억5228만원이 각각 증가했다.
교보생명~고덕신도시 도로개설
30억원
평택호 횡단도로 건설 25억5000만
수촌지구 대로3-32호선 도로개설
15억8000만원
안중대로3-7호선 도로개설공사
7억4000만
자전거도로 유지 보수 6억2258만
교량 및 육교 유지보수 28억6405만
도로 유지보수 36억3600만
공영주차장 유지관리 61억3712만
송탄시장 제2공영주차장 신축
40억600만
저상버스 구입비지원 37억6500만
수도권 통합요금제 환승할인 손실금
지원 62억1182만
The 경기패스(국비) 37억6000만
운수업계 유가보조금 지급 165억
운수업계 비수익노선 재정지원 240억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
100억9908만
수요응답형 버스(DRT) 운영비 지원
43억8000만
광역버스 공공관리제 운영 34억610만
교통약자특별교통수단 위탁
71억5090만
평택시 어르신 교통비 지원
32억8310만
■안전총괄과
재해 및 재난 예방 업무를 담당하는 안전총괄과 업무는 재난관리 기능강화, 재해사전 예방 및 신속한 대응태세 구축, 안전복지 서비스 구축, 민방위 시설관리, 지역 민방위대 교육 운영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올 해 예산은 118억4883만원이다. 지난해 보다 127억6453만원이 감소했는데, 유천2지구와 영신지구 자연재해위험 개선사업이 마무리되었기 때문이다. 재난안전상황실 운영 9998만원, 수난구호단체 장비 및 활동 지원 3000만원, 재해 사전예방활동 지원 1억1700만원, 자율방재단 역량강화 지원 3000만원, 우수유출 저감시설 유지관리 2억8360만원, 배수펌프장 운영 7억5220만원, 재해예경보시스템 유지관리 2억1503만원, 재난예경보시스템 확충사업(도비) 1억2000만원, 응급복구장비 운영 및 확충 6500만원, 영신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국비) 5억원, 풍수해 보험사업(도비) 2억8650만원, 시민안전보험료 3억원, 안전문화운동 운영 4785만원, 민방위 시설 관리 6억2710만원, 비상급수시설 청정화 정비사업 1억3560만원, 지역민방위대 교육운영 1억2564만원, 재난관리기금 전출금 78억5026만원 등으로 편성됐다.
■건설도로과
지방도 건설 및 확포장 사업, 도시계획도로 정비 등을 담당하는 건설도로과의 올 예산은 103억6758만원이다. 지난해 보다 56억5239만원이 감소했다. 도로 미지급 용지 보상금 3억원, 평택호 횡단도로 건설 (국비 지역개발) 25억5000만원, 교보생명~고덕신도시 간 도로개설공사 30억원, 안중대로3-7호선 도로개설공사(현화택지~현덕우체국간) 7억4000만원, 수촌지구 대로3-32호선 도로개설(수촌지구 민간도시개발사업)(부담금) 15억8000만원, 원정리(소로 1-1호선) 도시계획도로 개설공사 5억원, 안중대로 3-2호선 도로확포장공사 6억원, 지산동(소로1-207호선) 도시계획도로 개설공사 5억원, 팽성 농도305호선 도로개설공사 1억원 등이 배정됐다.
■도로관리과
도로관리의 체계적 지원과 교통환경개선, 쾌적한 도로관리 등의 업무를 맡고 있는 도로관리과 예산은 149억1319만원이다.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다. 도로관리의 체계적 지원에 3억8945만원, 자전거도로 활성화 추진 4억1067만원, 자전거도로 유지 보수 6억2258만원, 자전거 교량 시설물 보수보강 사업 2억2000만원, 찾아가는 자전거 안전교육 2000만원, 전동킥보드 거치대 설치(주민참여) 3000만원, 전동킥보드 주차시설 마련 및 공공포스터 게시(주민참여) 3000만원, 교량 및 육교 유지보수 28억6405만원, 도로 유지보수 36억3600만원, 평택관내 보도정비공사 5억원, 도로시설물 정비 및 유지관리 7억1000만원, 설해예방대책 7억8780만원, 가로등·보안등 유지관리 32억5158만원, 노후 제어함 및 등기구 교체사업 4억원, 지방도 도로보수원 인건비 2억8900만원, 폭염저감시설 설치사업 1억4000만원, 팽성읍 남산리 315-39번지 일원 보도설치공사 2억5000만원 등을 편성했다.
■교통행정과
교통환경 기반시설 구축과 기성 시가지 교통환경 개선사업을 펼치고 있는 교통행정과 예산은 209억7711만원이다. 일반회계 예산은 86억575만원이다. 교통환경 기반시설 구축 1억8744만원, 교통안전시설물 유지 관리 28억4810만원, 교통안전시설물 차선도색 13억5000만원,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3억2000만원, 어린이교통공원 관리운영 4억2400만원, 평택시교통정보센터 운영 15억5011만원, 2025년 광역긴급차량 우선신호시스템 구축사업(도비) 4억원, 2025년 어린이보호구역 개선사업(도비)(전환사업) 10억2000만원, 융복합안내전광판 설치사업(주민참여) 2억원, 후면 무인교통단속장비 설치(주민참여) 1억3500만원, 바닥신호등 설치(주민참여) 6500만원 등을 사용한다.
특별회계는 교통환경 기반시설 구축 교통사업 특별회계로 예산은 123억7135만원이다. 평택시 도시교통정비 중기계획,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 용역 2억9992만원, 평택시 교통정보센터 증축 8억원, 공영주차장 유지관리 61억3712만원, 송탄시장 제2공영주차장 신축공사(도비)(전환사업) 40억600만원, 기성시가지 교통환경 개선사업 9억5000만원, 주차장 무료개방 지원사업 3200만원 등이 편성됐다.
■대중교통과
운수업계 경영지원과 대중교통 기반시설 구축 사업을 펼치는 대중교통과 예산은 1040억4363만원이다. 지난해 822억9135만원보다 217억52287만원이 증가했다. 우선 운수업계 경영지원을 위해 722억8907만원이 투입된다. 지난해 보다 151억918만원이 증액된 수치다. 세부적으로 비수익노선 재정지원 240억원, 공영버스 운영결손금 지원(도비) 4억3102만원,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도직접지원) 100억9908만원,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운영(도비) 56억7223만원, 수요응답형 버스(DRT) 운영비 지원(도비) 43억8000만원, 저상버스 구입비지원(국비) 37억6500만원, 고덕지구 광역교통특별대책 시행 8억1000만원, 시내버스 운송업체 재정지원 15억5239만원, 수도권 통합요금제 환승할인 손실금 지원 62억1182만원, 시내 및 마을버스 청소년요금 할인지원 4억5441만원, 시내버스 운송업체 경영 및 서비스 개선지원 3억7257만원, 어린이청소년교통비 지원사업 6억3836만원, 택시 카드결제수수료 지원 12억1829만원, 법인택시 운수종사자 처우개선(도비) 9억9072만원, The 경기패스(국비) 37억6000만원, 도시형교통모델(공공형버스) 운영지원(국비) 1억1000만원, 대광위 광역버스 준공영제 사업(국가직접지원) 36억5300만원, 광역버스 공공관리제 운영(도직접지원) 34억610만원 등이 사용된다.
대중교통 기반시설 구축을 위해 313억9572만원이 투입된다. 세부적으로 운수업계 유가보조금 지급 165억원, BIS 유지관리 7억2772만원, 버스정보시스템 구축사업 10억원, 버스승강장 설치 및 보수 5억8288만원,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차량구입 3억9200만원, 교통약자특별교통수단 및 이동지원센터 위탁(도비) 71억5090만원, 공공형 택시 지원(국비) 12억원, 평택시 어르신 교통비 지원 32억8310만원 등을 사용한다.
■차량등록사업소
차량등록사업소는 내외국인 차량등록 관리 1억7844만원, 자동차등록번호판 발급대행 위탁운영비 8억3544만원, 자동차관리법 및 손해배상보장법 위반자 부과징수 1억8786만원, 과태료 체납 징수 관리 8655만원 등 14억8328만원을 지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