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인력운영비 1886억4898만원…

지난해보다 93억4027만원 증가

평택시 2025년 본예산 살림살이 규모는 2조4314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18일 평택시의회 정례회에서 확정된 것으로 2024년 본예산 2조2936억원보다 1377억원(6.01%) 증가한 규모다. 일반회계는 2조279억원으로 2024년보다 3.24%(635억원) 증가했고, 특별회계는 4034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22.54%(742억원) 증가했다. 본지는 7회에 걸쳐 2025년 예산이 평택시 각 부서에 어떻게 편성돼 어떤 사업에 쓰일지 살펴보려 한다. 이번 호에는 지난호 기획항만경제실·미래도시전략국·소통홍보관에 이어 ‘2025년도 평택시 예산 어떻게 편성됐나’ 두 번째 순서로 행정자치국과 문화국제국 예산을 살펴보겠다.

 

행정자치국 

시민의날 행사운영비 12억5000만원
공무원 후생복지 증진 72억4699만원

주민자치 기능 강화 25억8516만원
민관협치 활성화 6억234만원
국민운동단체 활성화 7억1814만원
자원봉사센터 육성 운영 5억9026만원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 250억2653만원
청소년 보호육성 223억7212만원
청소년복지증진 55억3531만원

종합관제사업소 74억8825만

행정자치국은 평택시청의 총무·인사·회계 등 살림살이를 총괄하고 시민 생활과 밀접한 자치행정‧협치‧교육·청소년·정보통신‧민원 등을 담당하는 부서로 총무과, 자치행정협치과, 교육청소년과, 회계과, 정보통신과, 민원행정과, 종합관제사업소로 이뤄져 있다.

행정자치국 예산은 평택시 전체 예산의 11.71%인 2848억3579만원이 편성됐다. 이 예산은 특별회계를 포함한 평택시 전체 예산 대비 조직별로 볼 때, 복지국 8122억8233만원(33.41%), 상하수도사업소 3074억5322만원(12.65%)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예산을 사용한다. 일반회계 기준으로는 13.75%인 2789억1730만원이며 지난해 보다 147억7512만원 증가한 규모이다.

부서별로는 총무과 2072억8436만원, 자치행정협치과 70억9696만원, 교육청소년과 495억5037만원, 회계과 66억4396만원, 정보통신과 39억4989만원, 민원행정과 28억2198만원, 종합관제사업소 74억8825만원이 편성됐다. 부서별 주요사업 내용을 살펴보자.

■총무과

총무과에는 2072억8436만원이 편성됐다. 지난해 예산 1970억7196만원보다 102억1239만원이 증가했다. 총무과는 평택시 공무원의 보수, 수당 등 인력운영비를 담당하고 있어 부서 예산의 대부분이 인건비로 지출된다. 올 해 인력운영비는 1886억4898만원으로 지난해 1793억870만원보다 93억4027만원이 증가했다. 이 가운데 인건비가 1474억240만원, 연금부담금등이 412억4657만원을 차지했다.

이 밖에 효율적인 행정시스템 구축에 22억5798만원, 통합 30주년 시민의날 행사운영비 12억5000만원, 탄력적인 인사행정 운영에 10억5477만원, 직원 후생복지 증진에 72억4699만원, 직원의 직무수행능력 배양에 15억9500만원, 공무직 관리운영에 2억3279만원 등의 예산이 사용된다.

 

■자치행정협치과

자치행정협치과는 지방자치 기반 강화를 위한 시민중심 열린시정, 주민자치 기능강화, 민관협치 활성화, 국민운동단체 활성화 추진, 자원봉사센터 육성 및 자원봉사 활성화, 병무행정 지원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올해 예산은 총 70억9696만원이 책정됐다.

우선 시민중심 열린시정을 위해 5억8276만원이 집행된다. 통‧리장 사기진작 1억9570만원, 통‧리장 세미나 4500만원, 북한이탈주민정착 지원 4800만원, 북한이탈주민 송년의 밤 1300만원, 평택·안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운영 지원 3500만원 등이 책정됐다.

전국단위 큰 선거가 없는 올 해에는 공직선거사무수행에 1억2937만원이 책정되었으며. 주민자치 기능 강화에는 25억8516만원이 지출된다. 세부적으로는 주민자치회 지원 9억9416만원, 주민자치센터 지원 11억4398만원, 주민자치센터 프로그램 발표회 지원 7500만원, 주민자치위원 한마음 워크숍 5000만원, 주민자치우수지역 선진지 견학 2200만원, 주민참여예산 운영 9622만원, 경기행복마을 관리소 운영 1억9380만원 등이 편성됐다.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해 6억234만원이 지출되는데, 협치회의운영 55440만원, 민관협치 모델개발 4550만원, 공익활동 활성화 및 센터운영 3억4234만원, 시민의 공간 운영 1억656만원 등이 편성됐다.

국민운동단체 활성화 추진을 위해 7억1814만원이 지출되는데, 평택시새마을회 운영지원 2억5317만원, 바르게살기운동평택시협의회 운영 지원 1억8446만원, 자유총연맹평택시지회 운영 지원 1억5830만원 등이 사용된다. 자원봉사센터 육성 및 자원봉사 활성화를 위해서는 5억9026만원이 편성됐다. 확고한 방위태세 확립을 위해 17억8156만원이 지출되며 병무행정 지원에 14억156만원, 재난대비 생활 민방위 훈련 운영에 3억8000만원이 각각 편성됐다.

 

■교육청소년과

교육청소년과는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교육환경 개선 및 교육 서비스 지원, 창의채움 교육기반 조성, 경쟁력 있는 인재 육성, 청소년 시설운영, 청소년 복지증진, 청소년 프로그램 운영지원, 청소년 유해환경 보호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예산은 495억5037만원이 편성됐다. 지난해 438억4504만원 보다 57억533만원이 증가한 금액이다.

우선, 인재양성 인프라 구축을 위해 250억2653만원이 책정 됐다. 교육경비 보조금 지원에 92억6755만원, 팽성(청담중) 국민체육센터 건립(국비)에 79억200만원 등이 사용된다. 창의채움 교육기반 조성을 위해서는 78억5177만원이 지출되는데, 교육경비보조금 지원(미래교육협력지구 협력사업) 61억1640만원, 잉글리쉬 스쿨 2억1600만원, 미래교육협력지구 지원 일반운영비 6억7630만원, 진로‧진학 프로그램 운영 6억1300만원, 창의채움교육센터 운영 9167만원 등이 사용된다.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21억788만원이 편성됐다. 평택시 장학재단 출연금 지원 9억원, 평택시 장학관 운영에 5억644만원, 대학협력사업비 지원 7억원 등이 사용된다. 대학협력사업비는 2023년 새로 신설됐다.

청소년 보호육성을 위해서는 223억7212만원이 투입되는데 이는 지난해 예산 195억5113만원 보다 28억2099만원이 증가한 수치다. 우선, 청소년 시설운영에는 155억7205만원이 투입된다. (재)평택시청소년재단 출연금 45억5871만원, 무봉산청소년수련원 시설 보강 1억1462만원, 원평청소년문화의집 운영지원 2억211만원, 서정청소년문화의집 운영지원 2억342만원, 청소년자유공간(휴카페)조성 4억7000만원, 서부청소년시설 건립 (도비)(전환사업) 93억8600만원 등이 투입된다.

청소년복지증진을 위해서는 55억3531만원이 사용된다. 청소년쉼터 운영지원 4억153만원, 청소년상담복지센터 지원 4억3293만원, 청소년안전망 구축사업(국비) 1억322만원, 청소년동반자 프로그램 운영(국비) 2억5826만원, 학교밖 청소년지원사업(국비) 1억5851만원, 학교밖 청소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지원(도비) 2억4182만원, 경기도청소년 생활장학금지원(국비) 2억9200만원, 여성청소년 보건위생물품 지원 3억1700만원,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24억4994만원, 청소년방과후 아카데미 운영 2억3341만원, 공공청소년수련시설 청소년지도사 배치지원 1억6929만원 등이 편성됐다. 청소년프로그램 운영지원에는 10억6575만원이 책정됐다. 이밖에 청소년 유해환경 보호를 위해서는 1억9900만원이 책정됐다.

 

■회계과‧정보통신과

회계과는 지난해보다 7억6658만원이 감소한 66억4396만원이 책정됐다. 회계질서 확립을 위해 9억489만원, 공공청사 확충 및 유지관리에 44억9687만원, 공유재산관리에 6억9630만원 등이 책정됐다. 정보통신과는 지난해보다 4억737만원이 감소한 39억4989만원이 책정됐다. 지역정보화 구축에 5억2024만원, 행정정보화 구축에 19억9054만원, 정보보안 추진에 3억4588만원, 정보통신시스템 관리에 10억4452만원 등이 사용된다.

 

■민원행정과‧종합관제사업소

민원행정과는 민원 행정 서비스, 여권 신청, 가족관계등록 사무 등 생활과 밀접한 업무를 수행하는 곳이다. 지난해와 비슷한 28억2198만원이 편성됐다. 대민행정서비스 지원에 5억6684만원, 민원상담 콜센터 운영비로 12억9812만원, 생활민원 SOS 기동순찰반 운영에 2억3860만원 등이 편성됐다.

종합관제사업소 예산은 74억8825만원으로 일반회계 예산 15억6976만원과 교통사업특별회계 예산 59억1849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회계는 도시통합운영센터 운영 4억5235만원, 불법주정차 무인단속기 설치 2억원, 행정운영경비(종합관제사업소) 9억1741만원으로 편성됐다.

교통사업특별회계는 불법주정차 무인단속기 유지관리 14억6025만원, 불법주정차 무인단속기 설치 및 노후설비 교체 23억5370만원, 주정차단속반 운영 5억5161만원, 주정차위반 과태료 부과징수 14억3073만원 등이다.

 

문화국제국

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89억2040만원
예술진흥 23억7654만원
평택박물관 진흥 육성 3억6949만원

국제교류재단 운영 42억8184만원
한미우호협력 환경조성 18억1300만원
한국전쟁 미군전사자 추모시설 4억원
군 소음피해 보상 지원 7억5568만원
방음시설 설치사업 보조금 7억원

관광기반 확충·관리 26억4691만원
문화예술진흥 32억2952만원
전통문화 보존·전승 31억2752만원

생활체육 활성화 48억881만원
엘리트체육 육성 14억3902만원
직장운동부 운영 61억4073만원
평택시민체육대회 지원 5억원
팽성야구장 이전 35억5000만원

문화국제국은 기존 국제문화국이 주한미군이전사업이 사실상 마무리되고 문화와 관광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문화 중심의 행정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3년 9월 조직명칭을 바꿈에 따라 편성됐다. 주무과가 기존 한미국제교류과에서 문화예술과로 변경되고 관광과는 문화유산관광과로 명칭과 일부 체제가 개편됐다. 이에 따라 문화국제국은 문화예술과, 한미국제교류과, 문화유산관광과, 체육진흥과 등 4개 과로 구성됐다.

올해 문화국제국 예산은 평택시 전체 예산의 5.11%인 1243억3441만원이다. 이는 지난해 1078억9040만원 보다 164억4401만원이 증가한 금액이다. 과별로 보면, 평택시 문화 예술을 총괄하는 문화예술과 819억2883만원, 국제도시 간 교류 협력과 한미우호 증진 등을 추진하는 한미국제교류과 94억1775만원, 문화유산 보존과 관리, 관광자원 개발과 관광 증진을 맡은 문화유산관광과 92억6080만원, 체육산업 육성을 담당하는 체육진흥과 237억2702원 등으로 각각 편성됐다.

 

■문화예술과

문화예술과는 올해 지난해보다 111억8401만원이 증가한 819억2883만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급증하는 문화예술에 대한 시민들의 욕구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먼저 문화정책 분야에 197억3518만원이 편성됐다. 평택시 문화재단 출연금 157억331만원, 지역문화 육성지원에 2억8110만원, 평택문화원 운영비 1억8730만원, 평택학연구소 운영비 1억6946만원, 웃다리문화촌 운영비 2억9571만원, 통합문화이용권 사업(국비) 27억9244만원, 평택시 지역문화진흥 시행계획 수립 용역 8000만원 등이다. 지역예술활성화를 위해 6억8172만원이 편성돼 음악·국악·미술 등 예술분야별로 사업비가 지원된다. 이 가운데는 평택예총 운영지원비 2억1732만원이 포함된다.

예술진흥에는 23억7654만원이 편성됐는데 기획공연 1억원, 노을동요제 9500만원, 뮤직페스티벌 1억5000만원, 스마트영상제 1억8000만원, 공연예술 공모사업 2억9000만원, 문화예술 공모사업 1억4000만원, 평택예술제 1억2000만원, 평택호 문화예술제 3000만원, 청년문화예술인 문화인턴제 사업 1억1911만원, 예술인 기회소득 6억6300만원, 평택아트센터 운영 2억2388만원 등이다.

문화시설 확충 분야에 584억9393만원이 편성됐다. 우선 평택아트센터 건립(국비)에 지난해 413억원이 투입된데 이어 올해에는 450억5053만원이 투입된다. 무형유산 전수교육관 건립비용도 지난해 90억2000만원이 투입된데 이어 올해에도 89억2040만원이 투입된다. 또한 문화시설 인근 교통환경 정비공사에 45억2300만원이 편성됐다.

박물관 진흥 육성을 위해 3억6949만원이 책정됐는데, 소장 유물 확충 관리 1억9916만원, 박물관 임시수장고 운영 8518만원, 도시역사 아카이브 조사용역 6000만원, 평택지역사 자료조사 연구 용역 2000만원 등이다.

 

■한미국제교류과

한미국제교류과 예산은 지난해 보다 13억1703만원이 증가된 94억1775만원이다. 이 가운데 일반회계가 86억3775만원이고 특별회계가 7억8000만원이다. 먼저 일반회계를 살펴보면, 미군기지 이전 협력체계 구축에 8억9758만원이 사용되는데, 평택시 주한미군 주둔지역 주민피해 현황 등 실태조사 용역 3000만원, 주한미군 평택이전 아카이브 구축 2474만원, 평택 국제평화·안보 포럼 3억6500만원, 한국전쟁 미군전사자 추모시설 건립 4억원 등이 편성됐다.

한미우호협력 환경조성에는 18억1300만원이 편성됐다. 한미 어울림축제 2억5000만원, 한미친선 한마음축제(팽성) 2억2000만원, 한미친선 문화한마당(신장) 2억2000만원, 한미 레포츠 데이 6000만원, 한미평화음악회 6000만원, 한미 댄싱카니발 9000만원, 한미연말축제(신장) 1억1000만원, 한미연말축제(팽성) 1억1000만원, 한미취미교실 8600만원, 젊은 문화의 거리 1억8000만원, 한미송년콘서트 3000만원, 한미 동맹 주간 1억9300만원, 2025년 에어쇼 지원 사업 1억5000만원, 평택리빙101 8000만원 등이 사용된다. 국제교류재단 운영 출연금으로 42억8184만원이 편성됐으며, 군 소음피해 보상 지원에 7억5568만원이 편성됐다. 우호도시 교류에는 1억1050만원이 사용된다. 특별회계 예산으로는 주변지역 주민편익시설사업 지원으로 방음시설 설치사업 차음량 측정 용역 8000만원, 방음시설 설치사업 보조금으로 7억원이 편성됐다.

 

■문화유산관광과

문화유산관광과 예산은 92억6080만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21억2572만원이 증액됐다. 관광기반 확충·관리를 위해 26억4691만원, 문화예술진흥을 위해 32억2952만원, 전통문화 보존 및 전승을 위해 31억2752만원의 예산을 사용한다.

관광기반 확충 및 관리 분야를 살펴보면, 지영희국악관 체험 콘텐츠 운영 3300만원, 한국근현대음악관 운영 1억4500만원, 팽성관광특구지정추진 3352만원, 팽성생활사박물관 운영 1억4000만원, 진위면 관광 핵심시설 타당성 검토용역 7000만원, 내리캠핑장 위탁운영 5억600만원, 평택원효대사 깨달음체험관 운영 2억900만원, 공간미학 위탁운영 1억원, 문화관광해설사 운영 2억360만원, 평택시티투어운영 1억3920만원, 송탄관광특구축제 2억6000만원, 달맞이 행사 6000만원, 평택섶길 지원사업 4000만원 등이다.

문화예술진흥을 위해 32억2952만원이 사용되는데, 한국소리터 위탁 운영비 8억5652만원, 한국소리터 지영희홀 보수공사 5억원, 종교문화 체험시설 건립 11억9000만원, 생생국가유산 사업 1억5000만원, 평택거북놀이 상설공연 4400만원, 향교·서원 활성화 사업 2000만원, 불교문화축제 4000만원, 크리스마스축제 4000만원, 지영희전국 국악경연대회 9500만원, 지영희예술제 3000만원, 지영희국악 창작공모전 2000만원, 별빛거리조성 4500만원 등이다.

전통문화 보존 및 전승을 위해 31억12752원이 사용된다. 도지정문화재 보수정비 1억345만원, 약사사 요사채 보수공사 4억원, 자비사 명부전 지붕보수 및 단청 2억4300만원, 향토유산 유지관리 1억2900만원, 문화유산 지정가치 조사 용역 7000만원, 평택자미산성지 보호구역 토지매입 4억4520만원, 매장유산 유존지역 지표조사 및 DB구축 3억3000만원, 국가무형문화재 보존·전승지원 2억4263만원, 지역 무형문화재 보존·전승지원 7억5820만원 등이다.

 

■체육진흥과

체육진흥과 예산은 지난해보다 18억1724만원이 증가된 237억2702만원이 편성됐다. 이 중 사회체육 육성에 207억5760만원을, 선진 체육시설 관리에 24억299만원을 각각 사용한다.

사회 체육 육성은 생활체육 활성화 48억881만원, 엘리트체육 육성 14억3902만원, 직장운동부 운영을 통한 시 위상제고 61억4073만원, 시민 참여 체육대회 개최 및 출전 지원 14억6110만원, 공공체육시설 확충 63억8000만원 등 5개 분야로 나뉘어 집행된다.

생활체육 활성화 예산을 보면 일반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2억91561만원, 장애인 생활체육지도자 배치 1억9436만원,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사업 15억4854만원, 장애인 스포츠강좌 이용권 지원사업 3억7224만원, 가상현실 스포츠실 보급 지원 1억원, 생활체육교실 운영 6295만원, 장애인 생활체육교실 운영 9025만원, 체육회 육성에 9억9693만원, 장애인체육회 육성에 3억4383만원, 학교체육시설 사용료 지원 8000만원, 신나는 주말체육프로그램 운영 4800만원 등이다.

엘리트체육 육성 예산은 학교체육·스포츠클럽육성 지원 2억2400만원, 우수 지도자·선수 육성 3억3300만원, 시민축구단 육성 2억5000만원, 경기도체육대회 출전 2억3400만원, 장애인체육대회(경기도) 출전 1억1200만원, G-스포츠클럽 운영 1억7402만원 등이다.

시 위상 제고를 위해 직장운동부 운영 예산이 61억4073만원이 편성됐고, 시민 참여 체육대회 개최 및 출전 지원 예산은 평택시민체육대회(격년제)개최 및 출전 지원 5억원, 시장기.의장기.협회장기 대회 개최 2억600만원, 각종 종목별 대회 개최‧출전 3억10만원, 평택국제포켓볼대회 4000만원, 경기도 생활체육대축전 출전 2억4000만원, 평택시민건강걷기대회 1억5000만원, 평택항마라톤대회 2억4792만원, 슈퍼오닝배 전국 배드민턴대회 4000만원, 평택강변자전거 대행진 5000만원 등이 각각 편성됐다.

공공체육시설 확충 예산 63억8000만원을 살펴보면 공공체육시설 개선공사 15억원, 팽성야구장 이전 조성 35억5000만원, 스포츠클라이밍장 조성 2억원, 모곡족구장 시설 개선공사 3억원, 진위파크골프장 진입도로 확장공사 1억원, 고덕 복합커뮤니티센터 건립 타당성 조사 용역 8000만원, 진위야구장 시설 복구공사 6억원, 반제근린공원 파크골프장 조성 5000만원 등이다.

선진체육시설 관리에 사용되는 24억299만원을 살펴보면, 소사벌레포츠타운 유지관리 16억299만원, 소사벌레포츠타운 개선사업 6억2000만원, 소규모체육시설 유지관리 1억8000만원 등이 투입된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