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확진 이후 69일만…“안심해도 좋다는 것이 의료계·정부 판단”
정부, “최종 마무리까지 대응 지속할 것”
정부 추경 2500억원 평택성모병원 지원 여부 관심

▲ 황교안 국무총리가 지난달 18일 국립중앙의료원을 방문해 메르스 환자 치료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제공 : 국무총리실)

정부는 28일, 전국을 공포로 몰아넣었던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가 사실상 종식되었다고 선언하고 모든 국민이 일상으로 복귀 할 것을 당부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이날 8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5차 메르스 대응 범정부 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의료계 전문가들의 의견과 메르스 관련 상황을 종합, 평가해 관계 장관들과 정부의 조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황 총리는 국민 여러분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 송구스럽다고 밝히고 “국제기준에 맞는 종식선언을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15개 집중관리병원이 모두 해제되고 23일동안 새 환자가 없었으며 어제로 격리자가 모두 해제되는 등 여러 상황을 종합해 볼 때 국민께서 이제는 안심해도 좋다는 것이 의료계와 정부의 판단”이라고 선언했다.

이어 “국민 여러분께서는 메르스로 인한 불안감을 모두 떨쳐버리고 경제생활, 또 문화와 여가 활동, 학교 등 모든 일상생활을 정상화해주시기 바란다”며 “남은 환자의 치료와 사후관리, 입국자 검역 등 상황이 마무리될 때까지 필요한 조치들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 20일 첫 확진자 발생이후 69일만에 내려진 종식 선언이다. 7월 28일 06시 기준으로 치료 중인 환자는 12명이고 퇴원자는 138명, 7월 4일 이후 신규 확진자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치료 중인 환자 12명 중 11명은 검사 결과 2회 음성으로 판명돼 음압병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겨져 치료 중이다.
후속대책에 대해서 황 총리는 “이번 사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신종감염병 방역체계를 확실히 개선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감염병 유입 차단, 현장 대응시스템 강화, 음압병실 등 시설 보강, 전문가 양성, 병원문화 개선 등 완성도 높은 대책을 마련해 속도감 있게 개선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메르스 초기 대처과정의 문제점과 원인을 철저히 밝혀 그에 따른 조치도 뒤따르도록 하겠다”고 밝혀 초기대응 부실로 사태를 확산시킨 데 대한 책임을 묻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또한, 정부가 추경을 통해 마련한 2500억원을 메르스 피해 의료기관에 손실보상하기로 하면서 평택성모병원에 대한 지원 여부에 다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보건당국은 삼성서울병원과 평택성모병원 모두 지원이 가능하다는 입장으로 손실보상 심의위원회에 지원 신청을 할지는 해당 병원의 몫이라고 전했다.

한편, 평택시 메르스 비상대책단은 28일을 기준으로 지난 5월 20일 메르스 최초 발병 후 현재까지 확진자 34명, 사망 4명, 퇴원 30명으로 집계했으며 현재까지 총 3164명(자가 1395명, 능동 1769명)이 자가격리 및 능동감시에서 해제되어 현재는 평택시가 메르스 청정지역이라고 밝혔다. 앞서 공재광 시장은 지난 21일 민선6기 출범 1주년 언론인간담회 자리에서 지역 내 메르스가 사실상 종식되었다고 밝힌바 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