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평택성모병원 방문에 ‘먹방쇼’하며 지역 무시

▲ 식당에서 진행중인 메르스 피해업종 간담회(위 사진), 평택성모병원 양진(왼쪽에서 두 번째) 이사장과 대화중인 최경환 부총리(왼쪽에서 세 번째)

평택을 찾는 유력 정치인들의 발걸음이 잦아진 가운데, 11일 최경환 부총리도 유의동 국회의원, 국토부, 농식품부, 문체부, 고용부, 금융위, 중기청 등 관계자들과 함께 평택을 찾았다. 최 부총리는 오전 11시 서정시장을 방문하고 이어 평택성모병원 인근 식당에서 피해업종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최 부총리는 메르스 불안심리 확산으로 위축된 소비심리를 되살릴 필요가 있다고 밝히면서 발병에 따른 매출 감소 등 업종별 애로사항 청취와 경영애로 해소 및 경제심리 회복을 위한 지원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이 날 최 부총리는 “평택성모병원 인근 식당이 장사가 안 된다 해서 가장 가까운 곳에서 식사함으로, 우리 국민이 메르스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주고 싶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어 “메르스 사태로 소비심리가 위축되고, 관광업계 등 서비스 업종의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다”며 그에 따른 소비위축이 내수 전반으로 옮겨가지 않도록 대책 마련에 힘써달라고 함께 한 관계자들에게 주문했다. 더불어 “주한 대사와 외국상의 관계자들을 만나 상황 설명과 함께 협조를 구하겠다”며 메르스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해서 불필요한 루머 확산을 막고, 국제사회와도 소통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음식업중앙회 제갈창균 회장은 “지역경제가 어려울 때 공무원들이 구내식당 대신 외부 식당을 이용했으면 한다”며 메르스 피해보상업종에 외식업도 인정해 줄 것을 요청했다. 그와 함께 제갈창균 회장은 “이번 메르스 사태는 국가 전복 세력들의 음모가 있다고 생각한다”는 시대착오적인 말과 함께 ‘김영란법에서 공무원 접대비 가격을 3만 원으로 한정 적용하는 것은 업종을 죽이는 것’이라며, 부총리가 매듭지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최 부총리는 “구내식당 이용은 세월호 당시에 공공기관 중심으로 민간 부문 이용을 권장한 바 있다”면서 관계기관들에게 권고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국가전복 세력 운운한 부분에 대해서는 언급 없이, 김영란법 관련해서는 국회에서 다룰 문제라며 넘어갔다.

대한동방국제여행 천옥진 대표는 “6월말까지 메르스 확산이 진정되지 않으면 여행업은 죽을 수밖에 없다”며 담보나 이자 부담 없는 정부 보조금과 같은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호소했다. 그 외에 전세버스 관계자들과 화장품업계 관계자들 역시 중국인 관광객 감소로 심각한 경영 위기를 겪고 있다고 하소연했다. 이들은 경영 위기 해결을 위해 정부가 ▴부과세 유예와 ▴캐피탈 할부금융 유예 기간 두고 이자 감면 ▴ 신용보증기금 중장기저리 대출에서 보증 간소화 등의 특례를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한편, 공재광 시장은 최 부총리 등 일행에게 “평택은 여러분이 생각하는 것만큼 위험하지 않다”면서 평택이 안정화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강조했다. 공 시장은 6일째 집에 못 들어갔다면서 “평택시민은 메르스 피해를 당하고 있는데, 평택이 무슨 죄가 있는 것처럼 보도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중앙 언론에 호소했다.

간담회를 마친 최 부총리는 유의동 국회의원과 공재광 시장과 함께 36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휴원 중인 평택성모병원을 방문해 양진 이사장에게 진료 재개를 위한 준비 사항과 의료진 상황 등에 대해 들었다.
이날 서정시장 방문과 평택성모병원 인근 식당 식사와 병원 방문까지 유력중앙 언론사들은 최 부총리 일행과 동선을 같이 했다. 반면 지역에서 동행한 언론사는 본지 외에는 없었다. 특별히 피해업종 간담회 자리에는 평택지역 소상공인이나 시의회 의원 누구 하나 초대받지 못해 평택지역이 철저하게 소외되고 무시당했다는 뒷말이 무성했다. 이 소식을 들은 모 언론사 관계자는 “지역 경제 활성화 논의에, 당사자인 평택 지역 기업, 지역언론을 배제하고 정치인들 ‘먹방쇼’만 하려면 왜 내려오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