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차 평택농업포럼… 주민 신뢰 속 자연순환 농업 확대 ‘공감대’

‘가축분뇨 해양투기 전면금지법’이 국제협약에 의해 2012년 1월 1일부터 시행됨에 따라 평택에서도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7월 24일 농업기술센터 회의실에서 ‘제38차 평택농업희망포럼’이 열렸다. ‘축산분뇨 처리시설의 현황과 과제’라는 주제로 열린 포럼에는 김용석 소장(안성시 자연순환센터), 홍석완 팀장(평택시 축수산과), 김문영 본부장(평택축협 경영관리부), 김덕일 운영위원장(평택농업희망포럼), 여운오 과장(농업기술센터 기술기획과), 김기수·이종한·박성자·신용조·안병무·박성복 이사 등 많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김용석 소장은 “가축분뇨는 더 이상 버려져야 할 쓰레기가 아니라 토질개선과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자연으로 환원돼야 할 자원이다”며 “자연순환농업 기술로 분뇨자원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했다.
홍석완 계장은 “현재 평택시가 사업비 45억을 들여 가축분뇨공동자원화 사업을 추진 중에 있고 평택축산농협도 자체 예산 60억을 확보한 상태지만 지난해 6월 오성면 양교리에 사업부지 계약체결이 이뤄진 후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이를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남은 과제”라고 밝혔다.
안병무 이사는 2007년부터 주민들의 인식을 바꿀 수 있는 시간이 충분했음에도 불신을 산 것은 시와 축협의 관리부재에 있다고 원인을 찾았다.
홍석완 계장은 “일반 살포업자들이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액비를 농가들에 지급해 악취가 진동할 수밖에 없었다”며 “제대로 숙성된 액비는 냄새가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또 “축협에서 액비와 퇴비를 지원하고 분뇨처리과정을 주민들에게 상시 공개하는 등 사업추진과정에 냄새문제를 해결, 반드시 올해 사업을 시행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문영 본부장은 조합과 시, 주민들의 협력이 절실하다면서 “분뇨자원화는 땅을 살리고 작물을 살찌우며 지구환경을 깨끗하게 해주는 개선사업으로서 올해 반드시 시작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정부는 2007년부터 2017년까지 가축분뇨자원화 시설을 전국 150개소에 설치한다는 계획, 현재 88개 시설이 설치, 운영되고 있다.
경기도에는 총 54개소로, 시 운영 18개소, 자원화 14개소, 농·축협 비료공장 22개소가 가동 중에 있다. 평택에는 2개소에 설치돼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