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 증가·해소 저조·우려
1년 만에 미분양 18배 급증
실수요자들의 매수 심리 위축

‘준공 후 미분양’ 가능성 높아
“미분양 장기화를 막으려면
정부·지자체 지원대책 필요”

평택시가 미분양관리지역으로 2018년 이후 4년 10개월 만에 재지정됐다.

3월 15일 주택도시보증공사(HUG)의 ‘3월 미분양관리 지역 선정공고’에 따르면 평택시를 비롯해 경기 이천시, 강원 속초시, 전남 광양시, 경북 경주시 등 전국 5개 지역이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미분양관리지역은 미분양 주택 가구 수가 1000가구 이상인 지역 가운데 미분양 증가,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모니터링 필요 등 4개 요소 중 1개 이상을 충족한 시군구를 지정하게 된다. 이곳에 주택을 공급하려는 사업 예정자는 분양보증을 발급받기 위해 예비심사나 사전심사를 받아야 하기 때문에 주택 신규 공급이 억제된다.

평택지역은 미분양 증가, 미분양 해소 저조, 미분양 우려 등 3개 요소를 충족한 것으로 평가돼 심각한 상황으로 볼 수 있다.

국토교통부와 경기도 주택정책과가 집계한 ‘미분양 주택 현황’에 따르면 평택지역의 미분양 세대는 지난 1월 31일 기준 6438세대로 확인됐다. 경기도 내 미분양 세대 수 1만135세대의 42.5%에 해당하고, 361세대로 집계됐던 2024년 1월 31일과 비교하면 약 18배 급증한 수치다. 특히 2024년 11월 30일 2497세대, 12월 31일 4071세대 등으로 증가세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평택에 미분양이 급증한 원인으로 반도체산업 불황이 꼽힌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공장 건설로 대규모 분양 물량이 풀렸는데, 지난해 하반기부터 반도체 불황 여파로 공장 건설이 지연되면 분양 실적이 바닥을 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평택시는 지난 2월 25일 시청 브리핑실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최근 미분양 세대수가 증가한 것은 2024년 4분기 6개 단지에서 약 5900세대가 한꺼번에 분양되면서 일시적인 공급과잉으로 발생한 것”이라며 “2025년 하반기에는 상당수 미분양이 해소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분양 해소방안으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시행하고 중앙정부와 협력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반면 지역에서는 미분양이 장기화되면 주택시장과 건설 경기에 악영향을 미쳐 지역경제가 더욱 침체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높아지고 있다. 김진철 새희망새평택시민연대 공동대표는 “삼성전자의 실적 개선이 불투명하고 정치적 혼란까지 더해진 상황에서 집값 하락을 우려하는 실수요자들의 매수 심리가 위축돼 악성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관계자들은 미분양 해소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지원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고덕신도시의 한 부동산 관계자는 “미분양이 장기화되면 주택시장과 건설경기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며 “금융·세제 지원, 대출 규제 완화 등의 지원대책이 필요한 때”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