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불참에 7일 탄핵 무산
탄핵 정국 장기화될 조짐에
분노어린 시국선언 잇따라
반국가적 내란 행위로 헌정질서를 유린한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대한민국은 예측 불가의 혼돈에 빠졌다. 전국 각지, 사회 각계에서 분노의 목소리가 쏟아졌고 대통령 탄핵소추안 국회 표결이 7일 여당인 국민의힘의 집단 불참에 무산되며 탄핵 정국이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자 이를 바로잡기 위한 국민 저항이 본격화되고 있다. 평택에서도 야당이나 정치권은 물론 대학가·시민사회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식적·비민주적 행태에 분노하고 그의 퇴진을 외치고 있다.
12.3 비상계엄 다음날인 4일 평택시민사회연대 담쟁이에서 “헌정파괴 내란범죄자 윤석열을 탄핵하라”는 분노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이들은 성명에서 “비상계엄은 요건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것으로 반헌법적·비이성적·반민주적인 폭거”라고 규정하며 “권력욕에 취해 미쳐버린 윤석열을 끌어내리는 항쟁의 길에 평택시민‧노동‧사회단체는 단호히 전선에 나설 것을 결의한다”고 천명했다.
5일에는 평택시의회 더불어민주당 의원 10명이 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시국선언을 발표했다. 의원들은 “12월 3일 심야에 벌어졌던 비상계엄령 선포는 국회와 지방의회를 침탈하고 국민의 기본권을 무력으로 억압하려 한 시도로 명백히 헌정 질서를 파괴하는 폭거”라며 “국회는 대통령을 즉각 탄핵하고 국민의힘은 책임을 통감하고 대통령 탄핵에 적극 동참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대학가도 시국선언에 동참했다. 6일 한경국립대학교 교수 65명은 ‘대한민국 민주주의 수호를 위한 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열사들의 피와 땀으로 지켜낸 우리의 고귀한 터전이 처절하게 유린당했다”며 “국정을 마비시키고 민주주의의 근간을 훼손한 데 대한 책임을 지고 대통령은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탄핵이 부결된 이후 임영일·강나라·강철·윤휘탁·조병모·이을규 외 71명의 교수는 2차 시국선언을 내고 “민주주의의 회복은 우리의 사명이자 책임”이라며 “헌정 질서가 회복될 때까지 끝까지 싸울 것이고,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는 결의를 내비쳤다.
본지를 비롯한 지역 언론사들로 구성된 (사)바른지역언론연대는 9일 “헌법과 국회를 유린한 윤석열 대통령을 즉시 탄핵해야 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바지연은 “우리나라 민주주의는 후퇴했고, 대한민국 국격은 실추됐다”며 “대한민국 국회는 헌법을 유린한 윤석열 대통령을 즉시 탄핵하고 이번 사태를 공동 책임져야 할 국민의힘은 탄핵 표결에 동참하라”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마지막으로 “이번 사태를 계기로 언론의 책임과 역할을 다시 한번 되새긴다”며 “지역 주민과 함께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를 수호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민주당 소속 경기도 내 기초단체장들도 목소리를 냈다. 10일 민주당 경기도당 기초단체장협의회는 도내 국힘 기초단체장들에 대통령 탄핵에 대한 공식 입장을 밝히라고 요청했다. 협의회는 국힘 의원들의 탄핵안 표결 거부는 “국민에게 호소했던 권리를 망설임 없이 저버리는 행동”이라며 “국가를 지키는 방법은 오로지 윤석열 탄핵”이라고 강조했다. 이 협의회는 회장인 김보라 안성시장을 포함해 정장선 평택시장, 이재준 수원시장, 최대호 안양시장, 조용익 부천시장, 박승원 광명시장, 정명근 화성시장, 임병택 시흥시장, 김경일 파주시장 등 9개 도내 시군 단체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