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평택생명시민연대 발족
“시민 식수이자 비상 급수원
삼성전자 용수공급 문제가
해결된 후에 논의…” 촉구
송탄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막기 위해 평택의 시민·환경단체들이 모였다.
송탄상수원지키기-평택생명시민연대(생명시민연대)는 11월 25일 평택시청 앞에서 발족 기자회견을 열고 “개발 광풍의 거센 해제 압력에도 전국의 환경단체와 연대하여 평택시민의 생명자원인 상수원보호구역을 지켜내겠다”고 선언했다.
이날 생명시민연대는 “송탄상수원이 해제되면 수질과 생태 등을 다시 되돌릴 수 없다”며 “해제가 아니라 평택시민의 식수와 미군기지·삼성전자 등 국가적 중요시설이 많은 평택시의 위급상황에 대비하는 비상 급수원으로 존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환경부는 지난 10월 29일 송탄상수원 폐지로 용수 하루 1만5000톤 감소, 2030년부터 팔당상수원에서 하루 15만톤의 생활용수 공급 등을 골자로 한 평택시 수도정비계획(2020~2040) 변경을 승인했고 11월 19일 한강유역환경청은 송탄상수원 해제의 직전 단계의 행정 절차인 ‘평택시 일반수도사업 변경인가’를 고시했다. 이제 정장선 평택시장이 경기도에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요청하는 절차만 남게 됐다. 이 과정은 지난 4월 평택시가 국토교통부·환경부·경기도·용인시 등과 체결한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과 상생협력 증진을 위한 협약’에 따라 추진됐다.
해제 직전단계의 행정절차인
일반수도사업 변경인가 고시
평택시장의 해제요청만 남아
생명시민연대는 “송탄상수원은 시민의 생존과 미래 물 안보의 핵심”이라며 “구체적 조사나 의견수렴 결과를 수치로 제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해제하면 평택시민의 뜻을 거스르는 행정이라는 어두운 역사로 남아 엄중한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송탄상수원 해제에 따른 평택시민 음용수 부족분을 삼성전자에 추가로 할당된 15만 톤의 팔당상수원 용수로 대체한다는 협약 조항에 대해서는 실현 가능성을 따졌다. 생명시민연대는 “삼성전자가 ‘해수담수화’, ‘하수재이용’을 통한 물확보 노력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지난 10월 10일, 환경부는 삼성전자의 용수 부족 상황이 해결될 때까지 송탄상수원 해제는 불가하다고 답변했다”고 짚었다.
생명시민연대는 “국가반도체산단 건설에 제약요인이라고 송탄상수원을 덜컥 해제하는 것은 평택시민의 물 안전을 전혀 고려치 않은 무책임한 국가·지자체 폭력 행위”라며 정장선 시장에게 송탄상수원 해제 신청을 중단하고 삼성의 용수공급 문제가 해결된 후에 송탄상수원 문제를 논의할 것을 강하게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