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의 마을공동체 톺아보기
마을공동체란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이 지역 문제를 스스로 고민하고 해결하기 위해 모인 주민 자발적 모임으로 파편화된 도시의 주거 환경 속에서 공동체성을 회복하고 주민이 주체가 되는 마을 만들기를 목적으로 한다.
평택시 마을공동체 지원에 관한 조례를 보면 ‘마을공동체’란 주민 개인의 자유와 권리가 존중되며 상호 대등한 관계 속에서 마을에 관한 일을 주민이 결정하고 추진하는 주민자치 공동체라고 규정한다. 또 ‘마을공동체 만들기’는 지역의 전통과 특성을 계승 발전시키고,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해 주민 삶의 질을 높이는 활동을 말한다.
마을만들기 사업은 1990년대 시민사회단체와 주민 주도로 일으킨 사회운동적 성격으로 시작됐으며 2000년대 들어서 전국으로 확산됐다. 평택시는 2015년부터 경기도 따복공동체 주민제안 공모사업을 통해 공간지원·공동체 활동지원 사업을 자체적으로 이어왔다. 이후 다양한 마을공동체가 마을의 환경정화, 학교 주변 교통지도, 경력단절여성의 자기계발 등 다양한 필요와 요구에 따라 생겨났고, 더 나아가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적협동조합 등의 형태로 발전해왔다. 2022년에는 민간 네트워크 조직 ‘평택마을네트워크 담소’가 출범해 서로의 활동을 공유하고 연대 협력하고 있다.
멀리 가지 않아도 우리 마을 일상의 가까운 곳에 모여 우리 이웃과 함께 평택에서 살아가며 겪는 불편을 해결하고, 삶의 질을 높일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마을공동체 25개를 읍면동별로 나눠 소개한다.
평택마을네트워크 담소
평택시 전역
평택에서 마을 관련 활동하는 공동체들이 담을 넘어 소통하자라는 취지로 만든 네트워크
네이버 밴드 https://band.us/n/a6aaA77fGaXaD 또는 안은현 010-5386-9878
① 백세청춘실버
팽성읍
경로당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실버문화 조성
박이순 010-5555-7213
② 칸타빌레 음악공방
팽성읍
음악을 좋아하는 누구나 함께 합니다.
대표 이은희 010.9752.7886
③ 들레생활공동체
죽백동 방아다리마을
마을과 어린이. 사람과 사람의 연결을 통해 건강한 삶을 가꾸고 선순환의 삶을 나눕니다.
대표 정기수 010-3264-8056
④ 배다리도서관 생태지기
죽백동
삶에서 대를 이어 지속가능한 것은 무엇일까요? 생태뿐이라 생각합니다. 아직 걸음마 중입니다. 함께 하실래요?
대표 이명희 010-3296-9060
⑤ 안골아낙들
죽백동
‘안골, 예술인 마을 되다’ 주민 스스로 찾은 취미가 특기가 되는 시간
대표 이미옥 010-8356-8894
⑥ 상상공작소
비전2동
스마트폰과 원예공예 봉사합니다.
대표 문선례 010-6320-8181, 실무자 이서혜 010-2704-1204
⑦ 지평선
비전2동
지구시민으로서 평택에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공생모임
주명숙 010-4375-5884
⑧ 향기공예마을배움터
용이동 현촌초 앞
향기공예마을배움터는 학교·학원 밖에서 공예 체험을 통한 진로 탐색, 안전한 돌봄 놀이터입니다
최인숙 010-9019-8696
@madam_candle
DM 카카오톡:마담캔들
⑨ 세교동달밤놀이
세교동
세교근린공원에서 달빛을 벗 삼아 남녀노소 어우러져 놉니다
대표 박수현 010-2372-4128
⑩ MOA 모두의미술
동삭동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으로 가득찬 동삭동 주민모임
대표 임국화 010-8500-8423
⑪ 온기(따스함이 담긴 생활공예
고덕면 새악길 18
공예로 풀어 보는 업사이클링 활동과 이웃과 함께 문화체험 수업 활동
이현주 010 3406 2808 / 인스타 ongi2401
⑫ ZI:금
이충동
꽃과 재봉틀로 세대공감(영시니어 모임)
실무 양순복 010-6730-6604
⑬ 그린씨스터즈
이충동
지구를 살리는 공예를 연구하는 모임
대표 유지혜 010-7707-9255
⑭ 마주모(마법의 손을 가진 주부들의 모임)
이충동 현대아파트 상가
재능있는 주부들의 작품활동과 재능나눔을 통한 봉사활동 모임
대표 장은아 010-5603-1844 / 실무 양세희 010-5756-0527
⑮ 맘마미아
이충동 (추담로 56-37)
맛과 멋을 아는 그녀들(장안마을 미인들)
대표 백은순 010-5663-7747
⑯ 테라모르
서정동
서정동 주변에서 발생하는 마을 문제를 함께 이야기해 보고자 모인 공동체
최진영 010-2510-6293
⑰ 우청평
신장동 청년공간 ‘비상구’
평택시를 청년들이 살기 좋은 도시로 만들기 위한 청년들의 공동체 ‘우리 청년이 평택을 바꾸자’입니다. 함께하고 싶다면 언제든 연락해주세요.
홍성현 010-3334-2873 또는 http://ssclab.kr/
⑱ 신장마을
신장2동
마을어르신 바리스타 교육 및 직업훈련 마을공동체
윤윤옥 010-3301-3545
⑲ 만지작
고덕2길 20
공예와 환경을 사랑하는 공예강사들의 재능기부모임
김희정 010-3930-1234
⑳ 노을작은도서관
안중읍 붐붐프라자
어른과 아이가 함께 웃고, 배우고, 성장하며 세상과 소통하는 마을 작은도서관
관장 김영정 010-7757-0594
㉑ 안중맘키움
안중읍 안현로서8길 14
모두가 함께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밝고 건전한 이웃 공동체문화 실현 모임
최진순 010-8571-8087
㉒ 씨앗을 지키는 사람들
안중읍 일대
씨앗 받는 법을 배우면서 토종 씨앗을 알고 보급하는 모임
대표 윤정원 010-6276-3371
㉓ 놀꼬연(놀이의 꼬리를 연결하는 모임)
청북읍
아이들이 마을에서 뛰어놀던 그때의 그 놀이문화를 다시 되살리고 마을 안에 담아보고자 합니다. 매월 셋째 주 토요일 오후 2~4시 ‘아이들의 놀이터’ 운영
청북새터공원 김기숙 010-3766-8515
㉔ 평택마을교육사회적협동조합
오성면
아이부모 행복한교육, 아이부모 행복한 마을. ‘오성문화공간 버들숲’ 운영 중
대표 이경옥 010-2878-1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