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증가에 따라 적정 수
확보해 청소 효율성 제고
평택시가 인구 증가에 따른 효율성 제고를 위해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대행구역 확대를 추진한다. 1995년 쓰레기 종량제가 시행된 지 30년 만이다.
9월 30일 열린 평택시의원 간담회에서 시는 이 같은 계획을 보고했다. 현재 평택시 생활폐기물 수집·운반구역은 5개가 운영 중이며 5개 도급업체에 2024년 원가 산정 기준 총 631억5867만여 원을 지급하고 있다.
5개에서 2~5개 더 늘릴 계획
구역 수 의견수렴 거쳐 확정
구역을 확대하려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째 인구가 30만명이 안 됐던 30년 전과 비교해 2023년 말 기준 63만2785명으로 2배 넘게 증가했고 둘째로 인구 증가로 기존 도급업체에 업무가 집중되면서 신속한 수거가 이뤄지지 않고 실질적 운영평가가 곤란해졌다는 것이다.
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2024년 1월 말 기준 인구 59만1878명인 평택시의 도급업체당 담당 인구는 11만8376명으로 인구 54만6078명인 안양시의 4만9643명과 비교해 2.38배”라며 “2030년 평택시 인구가 75만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구역을 조정·확대해 청소행정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혜 논란 발생하지 않도록
내년 초 공개입찰 방식으로
선정…2026년 1월부터 시행
지난 3월 준공한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개선 및 구역조정 용역에 따르면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1개 구역의 적정 인구수는 약 8만5000명이고 구역 수는 인구 증가에 따라 7~10개가 적정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날 시의원들은 충분한 의견 수렴을 거쳐 구역을 조정·확대하고 대행업체 선정을 투명하고 공정하게 처리해 특혜 의혹이 불거지지 않게 할 것을 주문했다.
앞으로 시는 실·국·소 협의, 언론인 의견 수렴을 거쳐 10월 중순쯤 대행 구역을 몇 개까지 늘릴지와 어떻게 조정할지를 최종 확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이어 내년 초에 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고 심사를 통해 구역별로 공개 입찰 방식으로 낙찰자를 선정하게 된다. 낙찰자 선정 후 허가, 대행 계약 체결 등을 거쳐 2026년 1월부터 대행구역 확대에 따라 도급업체를 늘려 운영하게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