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범시민대책위 출범
폐기물 발생량과 감축규모
투명하고 면밀하게 검증해
민관이 근본대책 마련해야
평택의 시민·환경단체들이 폐기물범시민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평택시에 “폐기물정책을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7월 11일 안중시민의공간에서 출범한 평택시폐기물범시민대책위원회는 현덕면환경복합시설설치반대위원회, 청북소각장반대대책위, 안중읍발전협의회, 평택시민환경연대, 평택시민사회연대 담쟁이, 평택시민재단, 평택섶길추진위원회 등 48개 시민·환경단체가 망라해 참여했다.
현덕면 폐기물 소각·매립장
추진하며 보여온 시 행정에
“환경정책 맡길 수 없다” 판단
폐기물범시민대책위 출범은 지난 5월 이후 평택시가 신규 폐기물 소각·매립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하며 보여온 행정을 통해 신뢰를 상실한 정장선 시장과 휘하 공무원에게 평택시 환경정책과 미래를 맡겨둘 수 없다는 시민·환경단체의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시는 아무런 공론화 없이 현덕면 대안리 1427-6 일원을 후보지로 특정하고, 주민 반발에 지원사업을 내걸면서 주민 과반 이상 동의를 얻어 강행하겠다고 대응해 밀실·불통 행정, 시대를 퇴행하는 행정이라는 비난을 자초했다. 비난이 거세지자 시는 6월 28일 후보지 선정 공모 방식으로 전환했다가 7월 3일 “민선 8기 중에는 추진하지 않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진정성 없는 정치놀음 일관
시민 직접 나서 해결하겠다”
이에 대해 범시민대책위는 “현덕면 주민과 평택시민을 혼란에 빠뜨려 놓고, 시민을 대하는 태도와 시정의 진정성은 어디에도 없고 정치놀음으로 일관하고 있다”면서 “이제부터 평택시민이 스스로 직접 나서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지역사회에 공식 천명했다.
그러면서 “시민환경단체와 전문가그룹이 평택시의 모든 종류 폐기물 발생량과 폐기물처리시설, 처리량, 재활용량에 대한 전면 실태조사를 시행해 얻은 정확한 통계 수치를 바탕으로 신규 폐기물처리시설의 필요성 여부를 투명하고 면밀하게 살피고 민관 합동으로 그 판단과 대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정확한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한 범시민대책위원회의 대책 제안 협의에 적극 임할 것”을 시에 촉구하며 “우리 평택시민은 필요하면 얼마든지 쓰레기를 감량할 의지가 있는 수준 높은 시민으로 대한민국을 선도하는 친환경 평택시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