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28일 대책위 결의대회
지역 환경과 공동체 파괴하는 
폐기물시설 계획에 성난 민심

 

평택시가 현덕면 대안리 1427-6 일원에 80만㎡ 규모의 초대형 폐기물 소각장·매립장을 건립하려다 후보지 선정을 공모 방식으로 전환했지만 성난 민심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현덕면 환경복합시설 반대 대책위원회(대책위)는 6월 28일 현덕면행정복지센터에서 결의대회를 열고 ‘지역 환경과 공동체를 파괴하는 폐기물시설 즉시 철회’를 촉구했다.

 

밀실·불통행정 성토 폭주
백지화까지 투쟁 이어갈 것

결의대회에는 면민 200여 명을 비롯해 평택시민환경연대, 평택시민사회연대 담쟁이, 평택농민회, 평택시민재단 등 시민사회단체 등이 함께했다.

전날인 27일 평택시가 후보지 선정을 ‘공모방식’으로 전환해 추진하겠다고 발표했음에도 현덕면민들의 분노는 식지 않았다. 봉하룡 현덕면 이장협의회장은 “현덕면은 청정지역으로 공장 하나 없어 산업폐기물이 나오지 않는 곳”이라며 “그런 현덕면에 초대형 폐기물소각장·매립장을 건립하려는 것은 인구가 적고 나이 든 주민이 많다고 해서 무시하는 것 아니겠느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시, 의견수렴 없이 강행하려다
후보지 ‘공모’ 방식으로 전환
“주민 갈등을 최소화 하겠다”

김기성 전 시의원은 “시민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대책을 세워서 해도 될까 말까 한데 과거 군사정권에서나 볼 행정이 평택에서 벌어졌다”고 개탄했다.

이학수 도의원은 “현덕면을 환경복합시설 대상지로 먼저 선정해놓고 주민에게 알리지도 않고 주민지원기금 얼마 주겠다고 한다”며 “돈 몇 푼 줄 테니 가만히 참고 살라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수일 평택3·1독립운동선양회장은 “평택시장은 현덕면을 포함한 서부 5개 읍면 주민 등 시민이 투표로 선출해 평택 발전과 주민을 위해 일해 달라고 권한을 위임받은 자리”라며 “주민을 위해 일하지 않고 박정희 때 써먹던 개발독재 방식을 적용해 독재 행정을 하는 정장선 시장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질타했다.

대책위는 현덕면민의 반대 의견을 계속해서 알려내고 서부지역 읍면과 연계해 폐기물 소각장·매립장 건립계획 백지화될 때까지 투쟁할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시가 6월 27일 배포한 보도자료에서 정장선 시장은 “공모 방식을 통해 신규 소각·매립시설 설치에 따른 주민 갈등을 최소화할 것”이라며 “환경 오염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친환경적인 환경복합시설을 구축해 인근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