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 21개 시민단체 미군기지 41만평 추가공여 반대 성명
이같은 미국측 요구는 미국이 오는 2011년까지 단계적으로 주한미군 기지를 통폐합하면서 기지와 시설, 훈련장 등 총 4천여만평을 한국측에 반환하는 대신 한국은 대형기지 주변 토지 75만평을 매입, 미국측에 추가 제공한다는 등의 `연합토지관리계획'(Land partnership Plan) 협상 내용이 중앙일간지 등에 보도되는 과정에서 알려지게 되었다.
지난 20일 국방위 소속관계자에 따르면 K-55의 경우 미군이 군시설확충을 위해 24만평을 더 공여해 줄 것과 원주의 캠프와 하남기지 이전을 위해 K-6기지 17만평도 함께 공여해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미군기지 이전으로 평택지역에 요구하는 공여지는 미국이 요구하는 총 75만 평의 절반이 넘는 41만평이나 된다.
이에 대해 '우리땅미군기지되찾기 평택시민모임'을 비롯한 평택지역 21개 시민사회단체는 지난 27일 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미군 기지 4천여만평의 반환을 적극 환영하나 평택에 미군기지를 41만평이나 넓히려는 주한미군의 연합토지관리계획을 결사 반대한다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고 이를 적극 저지하는 운동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고연복 평택시기독교연합회 회장은 성명서를 발표하며 "지난 1990년 용산미군기지 평택이전 계획을 발표하여 3년동안 평택시민과 양심세력의 강력한 저항을 받았던 한미 두나라 정부가 이번에는 '연합토지관리계획'으로 다시금 평택을 미군기지 바다로 만들려는 계획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고 전제하고, 평택에 한평이라도 미군기지를 넓히는 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며 평택 미군기지 41만평 확장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평택은 이미 각종 미군범죄와 미군 비행기 소음, 미군들의 폐수 폐유 무단 방류로 인한 수질오염과 토양파괴같은 각종 자연 환경 파괴는 물론, 인문 사회 교육 환경마져 퇴폐와 향락으로 낙인찍혀 버린 지 오래라며 왜 평택이 이런 미군 기지 피해의 모든 요소를 다 안고 살아가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서 "안정리와 송탄지역의 미국이 요구하는 땅은 이미 국방부에서 매수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시민단체의 대응이 다소 뒤늦은 것이 아니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우리땅 미군기지 되찾기 평택시민모임' 김용한 공동대표는 어려운 농촌 현실에서 농민들이 땅을 파는 것을 반대할 생각은 없다면서 다만, 한국정부가 미군에게 공여지로 제공하는 것을 반대하는 운동을 중앙정부 등을 상대로 전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