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환경단체 기자회견 개최
특별재난지역 불가 통보 반발
평택의 시민·환경단체들이 정부가 관리천 오염사고를 책임지고 해결해달라고 요구했다.
평택시민환경연대·서평택환경위원회·평택시발전협의회·평택시민지역경제살리기비상대책위원회 등은 2월 5일 평택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의 관리천 특별재난지역 선포 불가 통보를 규탄했다. 이들 단체는 “관리천 독성 유해물질 오염사고는 초기대응 미흡, 소방당국의 부적절한 대처, 한강유역환경청의 인허가 과정 의혹 등 복합적인 인재”라며 “복구비용으로 10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특정 기업과 지자체가 수습할 수 있는 차원을 넘어선 만큼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수처리장에 이송된 오염수
기준에 맞게 처리해 방류해야”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1월 30일 “이번 사고가 긴급 수습 및 지원이 필요한 재난이라고 보기 어렵다”며 평택시에 특별재난지역 불가 통보를 했다.
이송된 오염수가 부적절하게 처리되고 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들 단체는 “이송된 오염수를 처리하기에 부적절한 하수처리장 등에서 처리해 안성천 수계, 평택호, 평택항 앞바다로 배출하고 있다”며 “배출수를 하수처리장 방출기준에 맞게 처리해 방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관리천 조기 정상화를 위한 특별재난지역 선포, 관리천 오염 활성탄 처리수 3등급 수질 검증 후 방류, 유출된 화학물질 상세 정보 공개, 지하수 안전성 확보와 오염 토양·생태 복원 대책 마련, 지하수 음용수 기준으로 관리, 책임 규명과 재발방지 대책 마련 등을 요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