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7만톤 추산되는 오염수
처리기간은 최소 14일 이상
비용은 최대 1000억원 소요

1월 12일 오성면 양교리의 하천에서 탱크로리 차량이 에틸렌다이아민 유출로 파랗게 변한 오염수를 처리하고 있다. 사진=한종수 기자
1월 12일 오성면 양교리의 하천에서 탱크로리 차량이 에틸렌다이아민 유출로 파랗게 변한 오염수를 처리하고 있다. 사진=한종수 기자

 

화성의 한 위험물저장고에서 불이 나 보관 중이던 유해화학물질이 하천에 유입되면서 평택 지역에 심각한 환경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1월 16일 환경부·평택시에 따르면 지난 9일 밤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에 위치한 (주)케이앤티로지스틱스에서 발생한 화재로 유해화학물질이 평택의 관리천으로 유입되면서 청북읍 한산리부터 오성면 안화리까지 7.4㎞ 구간이 오염됐다. 

케이앤티로지스틱스는 2019년 9월 19일 한강유역환경청으로부터 유해화학물질 허가를 받은 유해화학물질 보관·저장업체이며 사고 당시 전소된 보관창고(1개 동)에 보관되어 있던 제품은 유해화학물질 48톤, 그 외 위험물 264톤 등 총 361톤(144종)으로 추정된다.

 

환경부

에틸렌다이아민 유출 확인

피부염증 · 복통 · 설사 유발

진위천 합류 전 지점 수질

검사한 결과 추가오염 없어

평택시

정부에 '특별재난구역' 건의

업체에는 구상권 청구 방침

매주 수질오염 검사 시행

피해신고 창구 운영하기로

조사 결과 화재로 발화동에서 유출된 유해화학물질은 에틸렌다이아민, 메틸에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로 보고됐으며 화학물질안전원이 유출물질에 대한 조사·분석을 진행 중이다. 현재 유출이 확인된 것은 에틸렌다이아민이다.

오염수가 푸른 옥색을 띠는 것은 이 물질의 다이아민 성분이 구리와 반응해 색이 변했기 때문으로 확인됐다. 에틸렌다이아민은 체내에 흡수되었을 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피부에 염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섭취하면 목의 통증, 복통, 구토, 설사를 유발한다. 

현재까지는 유해물질로 인한 추가오염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강유역환경청과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11~12일 진위천 합류 전 지점에서 채취한 오염수를 분석한 결과 구리·폼알데하이드가 수질기준 이내로 검출되었고 그 외 물질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생태독성은 1.7~42.4TU로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다.

생태독성이란 산업폐수가 실험 생물체에 미치는 급성독성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물벼룩를 방류수에 투입하여 24시간 후의 치사율을 측정하여 TU(Toxicity Unit)라는 단위로 표현한다.

또 평택시가 15일 오염지역 주변 200m에서 지하수를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22곳의 수질을 검사한 결과 농업용수 사용기준인 pH농도 6.0 이상 8.5 이하 기준에 부합해 농업용수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앞으로 문제는 3만~7만톤으로 추정하는 오염수 처리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이다. 평택시는 10일부터 방제둑 5개 설치, 관리천 수문·농배수로 차단으로 오염수의 진위천 유입을 차단하고 오염수 수거 차량 5대를 동원해 15일 오후 6시 기준 오염수 4500여 톤을 처리했다. 앞으로 차량을 더 투입해 하루 처리량을 5000톤까지 늘린다면 오염수 처리에 최고 14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오염수 처리비용은 20톤 차량 1대분의 폐수를 처리하는 데 400만~600만원이 드는 것을 감안했을 때 최대 1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평택시는 15일 언론브리핑을 열어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건의하고 경기도에는 특별교부금 조기 집행과 탱크로리 차량과 공공 하·폐수처리장 지원을 요청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면 복구비의 최대 80%가 국비로 지원되며 피해 주민은 재난지원금과 국세·지방세 납부 예외, 전기·도시가스 요금 감면 등의 혜택을 받게 된다.

오염사고를 일으킨 저장·보관업체 사업자에 대한 구상권을 청구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정장선 시장은 “원인자에게 사고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에 대한 구상권과 손해배상 청구 등 강력한 조치를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주민 피해와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매주 수질오염 검사 시행, 농축산물 등의 피해 신고 창구 운영, 인근 토양을 채취해 오염 여부 분석 등의 대책을 제시했다. 정 시장은 “끝까지 오염물질을 추적 조사하고, 확실하게 방제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하천 환경을 다시 만들어가겠다”면서 “화성 화재 사고가 대규모 수질오염으로 이어진 이번 사고를 교훈 삼아 앞으로 화학사고에 빈틈없이 대처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