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업용수 해결방안 없는
용인반도체클러스터 비판

반도체 수질오염 대책과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시도
중단 촉구에 한 목소리

경기남부하천유역네트워크는 10월 19일 평택시 고덕산업단지 삼성전자 정문 앞에서 ‘기후위기 악화, 반도체 방류수. 상수원 보호 대책없는 삼성전자 규탄’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경기남부하천유역네트워크는 “반도체 산업은 많은 양의 공업용수가 필요하고, 반도체 생산과정에서 많은 오폐수가 발생한다”며 “기후위기 시대에 걸맞지 않는 환경 부하가 큰 반환경 산업으로 각종 혜택은 삼성에게, 피해는 지역주민들이 받고 있지만 삼성은 대책을 내놓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김현정 대표는 “반도체 클러스터로 인해 재생에너지 수급, 공업용수 수급과 물 분쟁, 폐기물 처리문제, 하천·호소 등 수질과 수생태계 영향, 대규모 녹지와 생태계 훼손 등이 예상된다”며 “2022년 한강수계의 댐 공급능력은 연간 39.3억 톤이고 여유량은 1.4억톤으로 향후 반도체 용수로 필요한 용수가 매년 5.4억톤이 부족한데 이에 대한 대책 없이 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하여 산업단지로 만들겠다는 것은 지역주민을 향후 예상되는 기후재난 위험에 노출시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용수 공급에 대한 명확한 해결방안 없이 반도체 클러스터 사업을 밀어붙이기식으로 추진하고 있는 삼성의 무책임한 행태를 규탄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명수 평택시민환경연대 공동대표는 “평택호는 5등급으로 농업용수로도 부적합할 정도로 오염되어 가고 있고 평택호 내수면에서 어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은 기형물고기로 어업을 중단해야 할 것 같다고 하며 자체적으로 생태조사를 하는 실정”이라며 “정부와 정치권은 이에 대한 대책은 내놓지않고 삼성반도체는 시민들의 무방류 시스템 요구에 대해 하수재이용이라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정부와 삼성은 탄소중립에 역행하는 용인삼성반도체클러스터를 중단하고 RE100을 준수하는 기업경영을 통해 기업과 시민이 함께 상생하는 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이 단체는 반도체 산업을 위해 시민의 생명권과 직결된 식수 공급이 위협받아서는 안 된다고 재차 강조하며 삼성전자 측에 ▲탄소중립 없는 용인삼성반도체 클러스터 중단 ▲반도체 오염수로 인한 하천수질오염 대책 마련 ▲평택시민 수돗물 공급 위협하는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시도 중단 등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