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20~50대가 전체 62.4%
교통·교육·보육 순 불만족
권역별 불균형과 동남부에
치우친 도시중심 기능 해결해야
남부권 20~50대 인구 집중
서부권 50대 이상 늘어 고령화
남부권은 거주 의사가 높고
북부·서부권 전출의사 높아
평택시 인구가 2027년 65만명으로 증가한 이후 증가폭이 완만해져 2040년 76만명에 이를 거란 분석이 나왔다.
평택시가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9월 1일 시청 종합상황실에서 개최했다.
이날 용역 결과를 보면 평택시 인구는 꾸준히 증가해 2013년보다 30%가량 증가하여 2022년 12월 기준 57만8529명을 기록했다. 연령별 인구 분포를 보면 20대 13.4%, 30대 15.4%, 40대 17.3%, 50대 16.3%로 20~50대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구가 곧 경쟁력인 시대에 유의미한 수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인구증가에 만족하기에는 지역별 격차가 심화되고 있어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평택시 인구변화를 보면 비전1동·비전2동 등 남부권으로 인구가 집중되고 현덕면·진위면·서탄면 등 서부권 인구가 줄어드는 인구 편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심지어 현덕면은 소멸 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이런 문제는 19세 이상 시민 452명을 대상으로 한 ‘평택시 인구정책 수립을 위한 실태 조사’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평택시에서 전출 여부를 묻는 문항에 거주 의사를 밝힌 응답자는 61.3%(가급적 거주 39.3%, 계속 거주 22.0%)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권역별로 보면 남부권은 71.7%(가급적 거주 47.1%, 계속 거주 24.6%)나 됐지만 북부권 58.1%(가급적 거주 36.0%, 계속 거주 22.1%), 서부권은 55.2%(가급적 거주 34.5%, 계속 거주 20.7%)로 50%대에 그쳤다. 평택시가 갖춰야 할 시설·서비스로는 남부권·북부권은 공원·녹지·산책로를 선호했고 서부권은 병원·보건소가 32.8%로 가장 높았다.
거주환경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전반적으로 교통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고 교육, 일자리, 보육 등의 순이었다. 서부권의 경우 다른 지역과 달리 교통환경에 이어 생활환경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인구증가로 인한 교통체증, 인구증가에 비해 미비한 인프라, 불균형적 지역발전과 동남부에 치우쳐진 도시중심 기능, 취약한 복지만족도와 내부교통망 등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인구정책을 수립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청년인구의 지속적 유입에 따른 1인가구대응·청년 정책, 외국인거주자·외국인노동자 유입 증가에 따른 다문화 가정을 위한 복지정책, 신중년 삶의 질을 높이고 제2의 인생을 지원하는 중년 정책, 아동·청년·여성의 행복 추구에 주안점을 두는 정책 등 전연령 맞춤정책 수립도 과제다.
이날 보고회에서 용역사는 ‘시민 모두가 살고 싶은 터전, 평택’이라는 비전 아래 ▲청년세대의 희망찬 미래보장 ▲가족친화적 지역사회환경 조성 ▲활기찬 중장년·노후 터전 마련 ▲상생기반 공동체 구축, 4개 분야 50개 사업을 제안했다.
50개 사업 중 교통문제 해결을 위해서 도심 공영주차장 추가 조성, 평택지제역 복합환승센터 구축, 국도·지방도 확장과 신설을 통한 내부순환망 개선, 대중교통 노선 개편, 평택시 지능형교통체계(ITS) 구축, 수요응답형 대중교통(DRT) 운영 등 기존 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권역별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노후주택 리모델링 및 국공립 어린이집 확충 사업, 역세권별(지제역·안중역) 생활권 구축이 강화 과제로 꼽혔다.
이는 기존 시가 추진해온 사업을 강화하는 수준에서 그치고 있어 교통문제 해결과 권역별 균형발전을 위해 장기적인 안목으로 면밀하고 전문적인 연구와 검토가 추가로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연숙 평택시 인구정책팀장은 “인구변화는 평택시 발전방향을 정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라며 “연구용역 결과를 토대로 50대 사업에 대한 추진 타당성·시기를 검토하고 인구증가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해 평택시 인구정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