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실태 감사
민간 캠핑장 대부분 무등록 놀이기구
‘키즈펜션 등록 대상 추가’ 행안부에 건의

여주시 A 캠핑장의 놀이시설에서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녹슨 부분이 발견됐다.
여주시 A 캠핑장의 놀이시설에서 페인트가 벗겨지거나 녹슨 부분이 발견됐다.

경기도 내 대부분의 민간 캠핑장과 키즈펜션이 안전 인증이나 설치검사를 받지 않은 어린이 놀이기구를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경기도 특정감사 결과 드러났다.

도 감사관실은 5월 가정의 달을 앞두고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17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의 어린이놀이시설 1만 8268곳을 대상으로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실태 특정감사’를 진행했다.

2월 기준 행정안전부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도내 어린이놀이시설은 주택단지 1만 2490개소, 도시공원 3049개소, 어린이집 1846개소 등 총 1만 8263곳이다. 도는 이 시스템을 활용해 안전 검사 현황과 안전교육·보험 가입 여부 등을 전수조사했다.

감사 결과 도내 민간 캠핑장 20곳 중 17곳이 ‘어린이 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 따른 정기 시설검사를 받지 않은 상태로 부대시설을 운영하고 있었다.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은 캠핑장 운영 시 안전 인증을 받은 놀이기구를 설치해야 하고 정기 시설검사, 안전관리자 지정 및 교육, 상해보험 가입 등 주기적으로 안전관리를 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경기도 시민감사관이 캠핑장을 확인한 결과 무등록 어린이놀이시설이 장시간 점검 없이 이용되면서 사고위험이 큰 것으로 드러났다.

도내 민간 캠핑장 739곳 중 관할 시군에 어린이 놀이기구를 등록한 곳은 단 9곳뿐으로, 대부분의 캠핑장에서는 무단으로 놀이기구를 설치해 어린이에게 제공하고 있는 셈이다.

감사에서 확인된 17곳의 이용금지 조치와 해당 시설의 철거방안 조치 등은 해당 시군에 통보했다. 행정안전부에는 키즈펜션에 설치된 놀이시설도 ‘어린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 적용 대상에 추가해 줄 것을 건의했다.

도는 관련 시·군에 ▲불합격 어린이놀이시설 관리 감독 소홀 ▲안전교육 미이수자 관리 감독 소홀 ▲보험 미가입 어린이놀이시설 관리 감독 소홀 ▲안전 점검 누락 ▲연간 지도점검 계획 수립 지연 등에 통보·주의 조치를 내렸다.

최은순 도 감사관은 “이번 특정감사를 통해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이 더욱 안전한 환경에서 마음껏 뛰어놀 수 있게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생활밀착형 특정감사를 통해 더 안전한 경기도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