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군기지 이전법안 통과 후로 공식발표 미뤄와
정부는 지난 9월 이미 고속철도(KTX) 평택역의 건립 방침을 내부적으로 정했지만, 주한미군기지의 평택이전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 때까지 이를 밝히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국무총리실은 지난 10일자 주요 언론보도를 통해 “평택시가 미군기지 이전을 계기로 고속철 역사를 만들어줄 것을 강력히 희망해 왔고 미군기지 이전에 따라 교통수요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미국과의 기지이전 협정이 타결되고 8일 국회에서 평택지원특별법이 통과됨에 따라 평택에 고속철 역사를 건립하겠다는 정부 방침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총리실은 또 “평택지역 어떤 곳에 역사를 지을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용역 결과 등을 검토한 뒤 내년 초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무총리실은 이어 “건교부가 이미 지난 9월 경부고속철도 김천역과 울산역 입지를 확정하면서 평택 지역에도 고속철 역사를 짓기로 내부방침을 세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역사 신축의 타당성에 대한 연구용역 결과를 거친 후 내년 초 최종적으로 입지를 결정할 예정으로 전해졌다. 또 정부는 역사의 전면 신축일 경우 약 3000억원의 예산이 필요하고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장선(46·평택을) 의원도 이미 지난 10월 진행된 건설교통부에 대한 국정감사 때 고속철 평택역의 건립이 확정됐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확인했다.
정 의원은 13일 여의도통신 기자와 만나 “국감 때 직접적인 질의를 통해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건교부 장관 및 담당 국·실장과 수시로 정책협의를 해왔다”면서 “평택역사 건설 방침이 확정된 후 이에 대한 발표 시기도 협의했으며, 용산·LPP 등 관련 법안이 통과된 후 모든 것이 확실해진 다음 발표하자고 합의했었다”고 밝혔다.
한편 강동석 건교부 장관은 지난 9월 13일 경기도 지역구 국회의원들과의 면담에서 “고속철도 평택역사 설치는 정부가 지난해 11월 미군부대의 평택이전과 평화신도시건설 차원에서 약속한 정책”이라고 말한 바 있다.
본지국회파견/여의도통신=김봉수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