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계획위 “기업·주민 피해”
“재추진해도 허가 가능성 낮아”
6일 업체와 주민 기자회견 열려

오성·청북 레미콘 건립반대 비대위가 3월 6일 평택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농촌과 주민 건강을 해치는 레미콘공장 건립 결사 반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오성·청북 레미콘 건립반대 비대위가 3월 6일 평택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농촌과 주민 건강을 해치는 레미콘공장 건립 결사 반대” 구호를 외치고 있다. 

 

오성면·청북읍 주민 반발을 샀던 양교리 레미콘공장 조성이 불허됐다.

평택시 도시계획위원회는 3월 7일 레미콘 업체 A사가 신청한 오성면 양교리 공장시설 부지 조성 심의를 부결했다.

도시계획위원회는 레미콘공장이 들어서면 비산먼지·분진 등으로 오성산업단지에 입주한 외국인투자기업·첨단기업 활동을 저해하고 환경 오염과 주민 피해가 우려된다는 이유를 들어 부결한 것으로 전해졌다. 재심의가 아닌 부결 결정이 나온 것을 두고 A사가 오성면 양교리로 공장 조성을 재추진한다 해도 허가를 받을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시는 이번 심의 결과에 따라 조만간 A사에 불허 처분을 통보할 예정이다.

앞서 A사는 지난해 9월 16일 도일동 브레인시티산업단지 조성 사업부지로 공장이 수용됨에 따라 시에 오성면 양교리 906-1번지로의 공장 이전 승인을 신청했다. 이를 알게 된 양교리·토진리 주민들은 ‘오성청북레미콘공장건립반대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반대 주민 서명, 결사반대 집회, 시청 앞 1인 시위 등을 전개하며 격렬한 반대운동을 펼쳐왔다.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앞둔 3월 6일에는 평택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양교리·토진리 반경 3.3㎞ 이내에 이미 레미콘공장이 세 곳이나 된다“며 “자연·사람·마을을 파괴하는 유해시설이 농촌을 뒤덮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고 끝까지 싸우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7일 오전에는 오성면·청북읍 부녀회, 오성초·중 학부모들이 정장선 시장을 면담하고 “양교리·토진리 반경 3㎞ 내에 이미 레미콘업체 3곳이 가동 중이고 A사 외에도 2곳이 신규 공장 설립을 추진 중”이라며 “수십년간 고통받아온 것도 모자라 추가 설립은 절대 안 된다”고 호소했다. 이에 정 시장은 오성·청북에서 이뤄지는 난개발을 규제하려하고 있으며 평택시에 레미콘공장은 신설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도시계획위원회 부결에 업체가 어떻게 대응할지는 예측하기 어렵다. A사는 4월 1일까지 공장 이전을 마치도록 평택도시공사로부터 강제집행 최후통보를 받은 상태다. 6일 A사 관계자들은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종사자 300명이 고용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며 “평택시와 시의회는 평택도시공사의 강제집행 계획을 공장 이전 신청이 승인될 때까지 중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