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성면 양교리·청북읍 토진리
3km 반경에 레미콘공장 3곳
한 곳은 청북중 바로 앞 위치


추가로 2곳 설립할 계획 전해져

환경오염과 건강 악영향 우려
주민들 비대위 꾸리고 반발


폐기물소각장·축사까지 밀집
더는 참을 수 없다고 하소연

평택시 오성면 양교리와 청북읍 길음리 주민들은 유해·혐오시설을 머리에 이고 산다. 너른 벌판과 노을이 어우러졌던 마을 경관은 공장과 산업시설로 바뀐지 오래다.

마을 외곽을 따라 플라스틱 재활용공장, 건축폐기물 처리업체,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가 위치해 있고 레미콘공장도 3곳이나 된다. 이 중 한 레미콘공장은 청북중학교 정문에서 불과 120m가량 떨어져 위치한다. 지나가던 주민은 “어린 학생들이 다니는 곳인데 어떻게 레미콘공장이 영업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혀를 찬다.

 

청북중학교 정문에서 불과 120m가량 떨어진 곳에 레미콘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청북중학교 정문에서 불과 120m가량 떨어진 곳에 레미콘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청북중학교를 지나 최근 한 레미콘업체가 공장 설립 승인을 신청했다는 오봉산 앞자락으로 가보았다. 공장과 잇닿은 곳에 블루베리농장이 있다. 레미콘공장이 들어서는지도 몰랐다는 농장주는 한숨만 내쉰다.

최근 오성면에 레미콘업체의 신설 승인 신청이 이어지면서 오성면 양교리와 청북읍 토진리 주민들의 시름은 날로 깊어지고 있다.

11월 24일 평택시 등에 따르면 A레미콘업체가 도일동 브레인시티산업단지 조성 사업부지로 공장이 수용됨에 따라 평택시에 지난 9월 16일 오성면 양교리 906-1번지로의 공장 이전 승인을 신청했다. 이어 11월 18일에 또 다른 B레미콘업체가 오성면 죽리 156-22번지 일대에 공장을 신설하겠다고 평택시에 승인을 신청했다. 토진리 주민들에 따르면 아직 승인 신청을 하지 않았지만 C레미콘업체도 공장을 세우기 위해 청북읍 토진리 일대 토지 매입을 시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양교리와 토진리 인근에 위치한 또 다른 레미콘 공장. 
양교리와 토진리 인근에 위치한 또 다른 레미콘 공장. 

양교리·토진리 주민들은 A레미콘업체의 공장 신설 계획을 알게 된 10월 ‘오성청북레미콘공장건립반대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하고, 11월 10일부터 시청 앞 1인 시위를 전개하는 등 강한 반대운동을 펼치고 있다. 레미콘공장 신설을 반대하는 주민 1190명의 서명을 담은 서명부도 평택시에 제출했다.

이들이 이렇게 강하게 반대하는 이유는 이미 오성면 양교리, 청북읍 토진리 등 반경 3.3㎞ 이내에 세 곳의 레미콘공장이 운영 중이기 때문이다. A업체가 공장을 지으려는 부지는 반경 안에 위치해 마을이 레미콘공장으로 둘러쌓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주민들은 레미콘공장에서 발생한는 각종 유해물질과 오가는 차량이 뿜어내는 비산먼지로 더는 사람이 살 수 없는 마음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11월 15일 류정화 평택시의원 주재로 평택시의회에서 ‘오성면 레미콘공장 이전 관련 간담회’가 열렸다. 레미콘 공장을 반대하는 양교리·토진리 주민들이 결산반대로 적힌 조끼를 입고 앉아 있다. 
11월 15일 류정화 평택시의원 주재로 평택시의회에서 ‘오성면 레미콘공장 이전 관련 간담회’가 열렸다. 레미콘 공장을 반대하는 양교리·토진리 주민들이 결산반대로 적힌 조끼를 입고 앉아 있다. 

11월 15일 류정화 평택시의원이 주재한 ‘오성면 레미콘공장 이전 관련 간담회’는 이런 주민들의 우려와 분노가 분출됐다. 견학수 레미콘공장 건립 반대 비대위원장은 “브레인시티는 똑똑한 사람들 사니까 먼지 마시면 안 되고 조상 대대로 고향 땅 지켜온 농민들은 괜찮냐”고 울분을 토했다. 김병찬 비대위 사무국장은 “레미콘 공장 입주예정지 인근 마을의 주민 1190명이 반대하고 있는데 평택시는 어디에 귀를 기울이고 있느냐”고 질타했다.

이에 대해 평택시 기업지원과장·도시개발과장·건축허가과장은 “기업이 공장 이전 승인을 신청할 경우 관련법과 제도에 따라 절차를 진행할 수밖에 없다”는 원론적 입장을 내놓았다.

그러면서 “인허가 절차를 진행 중이니 절차 과정을 지켜봐달라”면서 “설립 승인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유승영 의장, 이관우 부의장, 김승겸 복지환경위원장과 김영주·강정구·최선자·이종원·김산수 의원은 “브레인시티 개발이 다른 마을 주민의 피해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며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강정구 시의원은 “시민과 평택을 위해 개발한다면서 또 다른 지역의 주민이 피해를 보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류정화 의원은 “집행부는 주민 우려와 논의된 내용을 살펴 레미콘공장 이전 문제를 면밀히 숙고해달라”며 “시의회 차원에서도 레미콘공장 이전 문제로 고통받는 오성면 주민들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도시  중심의 개발이  아닌

농촌만의 개발계획 세우고

시설  난립  막을  수  있게

법·조례 등 개정 노력 필요

 

전문가들은 농촌으로의 혐오시설 집중을 둘러싼 갈등을 최소화하고, 이후 주민 피해를 줄일 법적·제도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녹색연합의 한 관계자는 “환경이 파괴되고 사람들이 질병에 걸리는 등의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해당 지역주민들과 충분한 협의 없이 추진되다보니 갈등이 확산되고 있다”면서 “농민들이 피해를 피해를 보지 않도록 국회 차원에서 관련 법을 개정하고 지자체는 조례를 제정해 폐기물처리시설이나 혐오시설의 난립을 막고, 기존 시설도 철저히 관리·감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시 중심의 개발계획이 아닌 농촌을 위한 개발계획을 수립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그동안의 농촌의 개발계획은 농촌이 개발이 안 된 곳이라는 전제로 수립됐기에 ‘공장을 지으면 일자리가 생겨 마을이 발전한다’는 논리를 내세워 이러한 마구잡이 개발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공익법률센터 농본의 장정우 정책팀장은 “산업화와 개발이 아닌 환경, 식량위기, 탄소중립 등 다양한 과점에서 농촌의 가치를 다시 발견해야 한다”며 “일자리가 몇 개 증가한다는 개발논리가 아닌 농민이 농사를 지으며 행복하게 사는 농촌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할지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