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들 학습결손 40~50% 느껴
교사들은 60% 이상으로 인식

교사와 학생 모두 코로나19 장기화로 학습 결손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습결손은 학습 기회는 제공됐으나 실제 학습이 일어나지 않거나 학생이 교육에 참여하지 않아 발생하는 지식과 스킬의 차를 말한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이런 내용의 ‘코로나19 이후 학습결손에 대한 인식 및 해소 방안’ 보고서를 최근 발간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6월 도내 교사 및 학생(교사 2208명, 학생 8394명)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작성됐다.

조사 결과 도내 교사들은 도내 초중고 학생의 평균 62.1%가 학습결손이라고 인식했다. 특히 학습결손은 초등학생(60.4%), 중학생(6.13%), 고등학생(64.6%) 등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컸다.

분야별로는 체험학습의 학습결손이 가장 컸고 나머지 분야에서도 절반 이상의 학습결손이 이뤄진다고 봤다.

학생들의 경우 디지털효능감 수준과 정의적 영역의 성취감은 높게 나타났으나 심동적 영역의 성취에서 상당히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이는 집에서 수업을 들으며 활동적인 학습을 하지 못하는 것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책임자인 이정연 연구위원은 학습결손의 해결책으로 학생 개별 진단시스템 개발, 디지털 환경의 고도화, 학습지원의 일상화, 목표와 기준 재설정 등을 제시했다.

그는 “학습결손은 학습의 기회·과정·적응·성취의 전 과정에서 나타나며 비대면 전환은 학습결손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가져왔다”며 “학습환경의 변화와 함께 결손에 대해 학생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