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 8주년 기념 ‘미군기지 확대이전’ 특별여론조사
대화 설득 통해 해결해야 54%…강제 수용 찬성 7% 불과
지역경제·지역발전 기여 38%…교육 환경 범죄 악화 67%
용산기지협정 감사 73% 찬성, 78% 2사단 이전 알고 있어
■ 미군기지 확대이전 및 합의서 가서명 인지여부

남자가 여자보다, 학력별로는 전문대 및 대졸이상에서, 지역별로는 팽성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한편, 평택시민의 49.7%는 현재 정부가 이번 정기국회에서 미군기지 평택이전 합의안을 통과시키려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50.3%의 시민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나 절반정도가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별로는 40대와 20대에서, 직업별로는 자영업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 용산미군기지 및 전방 미 2사단 이전 찬반
평택시민의 52.9%는 용산 미군기지와 전방 미 2사단의 평택시로의 이전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적극반대 19.2%, 반대하는편 33.7%). 반면, 찬성은 41.0%였다. 이런 결과는 2003년 10월 조사결과(반대 : 53.0%, 찬성 : 37.8%)의 추세가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반대 찬성
2004년 10월 52.9% 41.0%
2003년 10월 53.0% 37.8%
2003년 2004년 비교표
특히, 성·연령·지역별로 찬반이 엇갈리는 양상은 여전히 계속됐다. 미군기지 확대이전 반대 의견은 △여자(55.8%) △저연령일수록(20대 57.7%, 30대 65.2%) △서부지역(60.9%), 평택지역(55.4%)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찬성의견은 △남자(45.4%) △고연령층일수록(40대 45.15, 50대이상 54.0%) △팽성읍(44.7%), 송탄지역(44.1%)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직업별로는 가정주부(62.0%) 및 불루칼러(59.1%)의 경우 반대가 가장 높았고, 자영업(56.7%)과 학생(47.1%)의 경우 찬성이 높았다.
■ 확대 이전 시 긍정적인 면 및 부정적인 면

그 다음은 ‘국가 안보 및 한미간 우호증진 기여(25.1%)’, ‘평택의 국제적 인지도 향상(14.8%)’의 순. 반면, 15.0%의 시민은 설문에는 없었으나 긍정적인 점이 없다고 응답했다. 한편, 확대이전을 찬성하는 층(N=410)은 절반이 ‘지역경제 및 지역발전에 기여(50.0%)’를 가장 긍정적인 점으로 꼽았다.
‘교육여건 악화, 환경문제, 미군 범죄의 증가 등 문제 발생(66.5%)’이 미군기지 확대이전의 가장 부정적인 점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장기적으로 도시발전에 도움이 안된다(14.1%)’, ‘평택이 거대 군사도시가 되면 테러 및 전쟁 위험이 높다(13.2%)’ 순. 반면, 부정적인 점이 없다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한편, 확대이전 반대층(N=530)의 71.3%가 ‘교육여건 악화, 환경문제, 미군 범죄의 증가 등 문제 발생’을 가장 부정적인 점으로 꼽았다.
■ 정부의 미군기지 이전 예정지역 주민대책에 대한 견해

이는 중앙정부의 기지이전 과정이 순탄치 않을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한편, ‘주민을 설득한 후 안되면 강제수용해야 한다’는 의견은 7.5%에 그쳐 대다수 시민은 강제수용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설득과 대화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은 △고연령일수록(50대이상 57.7%) △팽성읍(61.3%), 송탄지역(60.4%)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한편 계획을 철회하거나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은 △저연령일수록(20대 42.2%, 30대 40.2%) △평택지역(42.2%), 서부지역(40.5%)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 정부의 평택시 및 시민의견 반영 평가

이는 중앙정부의 지금까지의 활동이 평택시민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고, 정부가 획기적 대책을 내놓지 않는 한 주민 여론이 우호적으로 바뀌기가 쉽지 않다는 의미이기도 해 정부 정책 및 활동방식의 전면적 재검토가 요청되는 대목이다.
연령이 낮을 수록 부정적 평가가 많았고, 지역적으로는 평택지역(77.3%)과 송탄지역(74.0%)의 부정적 평가가 높았다.
시민 대다수 ‘평택지원 특별법’ 모른다 응답
별 도움안될 것 40%…주민투표 80% 찬성
시 선결과제 ‘기지이전문제’-지역경제 활성화 순
■ 확대이전문제 주민투표 실시 찬반

이는 중앙정부의 역할에 대한 부정적 평가와 더불어 정부가 관심있게 지켜볼 대목이라고 분석된다.
■ 용산기지 이전 결정과정 감사에 대한 견해

특히 최근 정부가 기지이전협정 국회비준을 위해 용산기지이전 합의안을 공개해 불평등 합의에 대한 논란이 증폭되는 상황에서, 평택시민의 절대 다수가 감사가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은 기지이전에 대한 부정적 여론의 반영으로도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연령별로는 30대에서 찬성의견이 높게 나타났고(83.0%), 50대 이상에서는 반대의견이 상대적으로 높았다(21.8%).
■ 평택 지원 특별법관련

평택시민의 44.5%는 미군기지 평택이전 관련 평택지원 특별법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내용에 대해 알고 있다 12.8%, 들어는 보았다 31.7%). 한편, 잘 모른다는 비인지층은 55.5%에 달했다. 그러나 인지층을 인지수준별로 보면, 내용에 대해 알고 있다는 층은 12.8%에 불과해 비인지층까지를 포함하면, 특별법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거의 대부분 시민들이 모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별로는 40대에서, 지역적으로는 평택지역에서 상대적으로 인지수준이 높았다. 반면, 잘 모른다는 층은 여성, 20대와 50대 이상, 팽성지역에서 많았다.
□ 특별법 통한 지원 방안에 대한 찬반
평택시민의 59.6%는 특별법 제정을 통한 평택 지원 방안에 대해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적극찬성 15.5%, 다소찬성 44.1%). 반면, 반대한다는 의견은 24.8%였다. 이러한 결과는 특별법 내용 자체는 잘 모르지만, 특별법을 통한 지원에 대해 과반수 이상의 시민들은 일정 정도 기대감을 갖고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특별법의 평택문제 해결 기여정도
평택시민의 51.0%는 미군기지 평택이전에 따른 평택지원 특별법 제정이 평택발전 및 미군기지 이전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해결에 기여할 것이락 보고 있다(매우기여할 것 6.8%, 다소기여할 것 44.2%). 그러나 기여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39.6%에 달해 특별법이 예상되는 문제 해결에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민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특별법을 통한 지원에는 일정정도 기대감을 가지면서도 실질적인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큰 기대는 하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이 점은 특별법 제정을 통해 주민 여론을 무마하고 지역발전을 꾀하려는 중앙정부나 정치권이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 평택시 선결 과제

이 같은 결과는 시민 사이에서도 미군기지 이전문제가 가장 큰 현안임을 다시 한번 환기시켰다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장기불황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 대중 교통 및 도심 주차난 해결, 평택항 활성화 등도 시민들이 바라보는 주요 현안임을 알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