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건설교통국 도시주택국 푸른도시사업소

‘2021년도 평택시 예산 어떻게 편성됐나여섯 번째 순서는 도시주택국, 안전건설교통국, 푸른도시사업소다. 이 세 기관은 도시개발, 도로 건설, 공원 조성 등 쾌적한 도시건설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지난해 조직 개편으로 기존 건설교통국에서 하천과가 환경국으로 옮겨가고 안전총괄과가 더해져 안전건설교통국이 만들어졌다. 도시주택국에서는 산림녹지과와 공원과가 새로 신설된 푸른도시사업소로 옮겨갔다.

도시주택국, 도시재생예산 253억8194만원
푸른도시사업소, 공원 조성 총 563억7852만원

안전건설교통국

안전건설교통국 예산은 총 17624637만원으로 전체 예산의 11.27%. 안전총괄과가 만들어져 코로나19 재난지원금 등으로 지난해보다 5715836만원(48%)이 늘었다. 부서별로 안전총괄과 4732462만원, 건설도로과 1185282만원, 도로관리과 1277681만원, 교통행정과 4176423만원, 대중교통과 619434만원, 차량등록사업소 62354만원을 집행한다.

안전총괄과는 재난안전상황실 운영 1206만원, 배수펌프장 운영 57040만원, 풍수해보험 사업 28766만원, 유천2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723000만원, 영신지구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 10억원, 시민안전보험 25650만원, 재난관리기금 전출금 53211만원, 예수금원리금상환(재난기본소득 지급) 302억원으로 편성됐다.

건설도로과는 도로 미지급 용지 보상금 5억원, 석정리~홍원리(면도102)간 도로 확포장 5000만원, 평택호 횡단도로 건설 37200만원, 시도19호선 도로확포장공사(전원가든~신성간) 13억원, 통복 지하차도 개설공사 437700만원 등이 배정됐다.

도로관리과는 진위천 자전거도로 연결사업 4억원, 교량 및 육교 유지보수 387442만원, 도로 유지보수 311110만원 등을 쓴다.

교통행정과는 교통안전시설물 유지 관리 213680만원, 교통안전시설물 차선도색 129000만원, 평택역 광장 아케이트 상가 정비사업 100억원, 지제역 복합환승센터 구축에 150억원 등을 쓴다.

대중교통과는 시내버스 운송업체 재정지원 278102만원, 수도권 통합요금제 환승할인 손실금 지원 481140만원, 청소년 교통비 지원 사업 59889만원, 운수업체 유가보조금 지급 220억원 등을 사용한다.

차량등록사업소는 내외국인 차량등록 관리 17673만원, 등록 자동차 관리 24705만원, 과태료 체납 징수 관리에 9050만원을 쓴다.

 

도시주택국

도시계획과는 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토지매입 14600만원, 도시계획정보체계(UPIS) DB구축 및 관리 7500만원, 부동산종합공부시스템(KRAS) DB구축 및 관리 7640만원, 도시디자인 관리체계 구축 3344만원 등을 집행한다.

도시개발과는 민간제안 도시개발사업 조합업무 회계검사 4200만원, 도시개발사업 일반수용비 200만원, 민간제안 도시개발사업 시책추진 300만원 등을 배정했다.

도시재생과는 도시재생 지원사업 6430만원, 소규모 도시재생사업 18000만원, 안정리 커뮤니티 광장 조성 76200만원, 각종 공모사업 구상 및 사업계획수립 용역 6500만원, 안정지역 도시재생 활성화사업 34억원, 신평지역 도시재생 활성화 사업 786666만원, 서정동 새뜰마을사업 157400만원, 신장지역 도시재생 활성화사업 328333만원, 도시재생 활성화계획 수립 용역 25000만원, 신장마을 우리동네살리기 사업 86700만원을 배정했다.

건축허가과는 마을회관 건립 및 정자 관리 34000만원과 소규모 공동주택 지원사업 5억원 등을, 주택과는 공동주택단지 노후시설 보수 27억원과 노후 공동주택 유지관리 지원 48000만원, 불법 유해 광고물 정비 12666만원 등을 집행한다. 토지정보과는 지적재조사사업에 125861만원, 개발이익 환수에 8261만원을 쓴다.

 

푸른도시사업소

푸른도시사업소는 시 예산의 6.23%9744452만원을 집행한다. 부서별로 산림녹지과 2029782만원, 공원과 7341606만원, 녹색건축사업과 373064만원이 편성됐다.

산림녹지과는 산불방지대책 76240만원을 비롯해 평택시 바람길숲 조성 90억원,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 188464만원, 서해안 녹지벨트 조성 6억원, 도시숲 조성 7500만원, 도시숲 관리 53967만원, 시민참여 정원 조성 1480만원, 꽃피는 도시조성을 위한 장미식재사업 5200만원,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 281552만원, 산림환경기능증진 자금지원-무장애나눔길 7340만원 등을 쓴다.

공원과는 모산근린공원과 은실근린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지방채 총 550억원을 발행한다. 공원 조성에는 삼각산(평택)근린공원 조성 54700만원, 부용산(동촌)근린공원 조성 1억원, 부락산근린공원 조성 5억원, 소풍정원캠핑장 운영 33380만원 등을 쓴다. 권역별 공원 관리에는 남부 667505만원, 북부 364250만원, 서부 315026만원을 집행한다.

녹색건축사업과는 오성면 행정복지센터 건립 351000만원, 송북동 행정복지센터 활용 3000만원 등을 배정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