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의안은 다음달 중 한국에서 가서명될 예정이며, 이후 한미간의 최종 합의와 국회 비준 등의 절차를 밝게 된다. 합의안이 발표되자, 기존 500만평의 미군기지에 더해 349만평을 추가로 미군기지로 제공하게 될 평택지역 주민과 정치권, 해당 지역 농민들은 '드디어 올것이 왔다'는 분위기로 향후 사태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단 정치권은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팽성과 서탄 지역 주민과 ‘미군기지확장반대’ 대책위원회는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대규모 반대운동을 벌일 것을 예고해 긴장감을 더해주고 있다. 또한 그간 용산기지 이전협상 과정이 굴욕적이라며 이전협상을 다시 벌이라고 주장했던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 등 반전 평화운동단체들은 ‘협상 무효’를 선언하며 평택주민들과 함께 전면적 반대투쟁을 벌이겠다고 밝혀 미군기지 평택이전 문제는 올 여름 이후 평택지역의 최대현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
그간 한미간의 합의는 어느정도 예상된 만큼 이제부터가 정말 중요한 상황이다. 평택을 위하여, 미래 후손들을 위하여 평택이 미군의 대규모 군사도시화 되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범 시민적 공감대는 많이 형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어차피 한미간의 합의로 진행된 상황이니만큼 불가피하지 않느냐는 생각과 이전할 경우 평택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고 지역발전을 위한 다양한 보상책을 중앙정부로부터 받아야 한다는 생각도 시민들 사이에 어느 정도 자리잡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른바 조건부 수용론이나 ‘특별법’ 제정을 통한 지역 발전 계기론이다.
문제는 어떻게 시민의 의견을 한 곳으로 모으고, 지역사회가 극단적인 분열이나 갈등 양상없이 미군기지 이전이라는 ‘발등의 불’을 끌 것인가 하는 점이다.
지금 이 시점에서 평택이 ‘제2의 부안’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은 성급하고 무책임한
판단이다. 그러나 전방2사단까지 포함해 미군기지가 평택으로 총집결되는 상황에서 대대로 물려받은 땅에서
평택시민신문
webmaster@pttime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