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태 성 <송탄여중 교사>

▲ 김태성<송탄여중교사>
수행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능력을 다양하게 평가 할 수 있으며, 이것은 또한 학생 개개인의 내재된 능력을 이끌어내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앞으로 삶을 살아가면서 겪게 될 다양한 일들에 대한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를 합니다.

그러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면서 현재의 문제점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것입니다.

그럼, 선생님들이 생각해야 할 부분을 살펴보면 그 대안은 첫째, 학제적 또는 범교과적 수행평가 입니다.

하나의 수행평가를 여러 교과에서 다각도로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이 겪는 가장 큰 부담인 수행평가의 양적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입니다.

하나의 수행평가로 국어과에서는 맞춤법 등 문장 표현에 대해, 사회, 도덕과에서는 근거나 타당성에 대해, 컴퓨터과에서는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문서의 형식 등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이 너무 많은 수행평가의 부담에서 벗어나도록 하며, 아울러 진정 관심을 가져야 할 수행평가의 질적인 측면의 확보도 가능 할 것입니다.

둘째, 학생중심의 선택적 수행평가 입니다. 어떤 경우는 현재의 수행평가가 단지 평가를 위한 요식행위로 그치는 면이 없지 않으며 그런 수행평가에 대해 학생들도 내용은 읽어보지도 않고 인터넷에서 단지 몇 분만에 다운받아 제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상 필요하면서도 학생들의 이해와 요구를 반영 할 수 있는 수행평가가 되어야할 것입니다.

자신이 관심을 갖고 있는 일,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비록 힘들더라도 학생들은 성취감과 만족을 느낄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수행평가 중에서 하나를 학생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 될 것입니다.

수행평가 과제를 여러 개 제시하고 학생들이 그 중 자신이 가장 관심있는 주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또한 방법론에 있어서도 학생들이 선택 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업시간에 발표를 할 때도 그 형식은 그림이 될 수도 있고, 프리젠테이션이나, 캠코더, 연극, CF형식 등 여러 가지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끝으로 학생들에게 바라는 점은 수행평가에 관한 모든 내용은 일선 학교에서 학기초에 학생들에게 유인물 등을 통해서 자세하게 안내를 하고 있습니다.

미리 학기초에 1년의 계획을 안내하는 이유는 이번 시기에 어떤 수행평가 이루어 질 것인가를 앎으로써 계획성 있게 수행평가를 해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일 것입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노력이 바로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입니다.

<교단에서 온 편지>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