섶길 12개 코스 담은 리플렛·지도 제작
나머지 8개 길 안내표지판 내년까지 설치 ‘목표’

쉬어가며 둘러가는 ‘평택섶길’
2012년 걷고 싶은 길을 찾기 위해 몇 사람이 모여 섶길탐방을 시작한 후 2015년부터 추진위를 구성해 평택문화원·평택섶길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평택시민신문·평택저널이 후원하며 ‘평택섶길 조성사업’이 진행되었다. 지난해 1년 간 다양한 활동을 펼쳐온 평택섶길추진위원회(위원장 장순범, 이하 섶길추진위)는 그동안의 활동내용을 정리한 ‘2015년 평택섶길 사업총괄보고서’와 활동의 결과물을 요약정리한 평택섶길 12개 코스를 담은 ‘리플렛’ 및 ‘안내지도’를 지난 3월에 제작했다. 리플렛에는 각 코스에 대한 설명과 안전수칙, 교통편 등에 대한 내용이 담겨있다.
섶길추진위는 대추리길, 비단길, 명상길 등 3개의 코스 출발점에 표지석을 세워놓고, 갈래길에는 방향표지판을, 길 중간 중간에는 섶길을 안내하는 리본 등 일반시민이 다닐 수 있도록 안내표지판을 설치한 상태로 나머지 8개 코스에는 내년까지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평택의 자연과 역사, 문화와 사람을 만나는 ‘평택섶길’은 찾아내고 만들어가는 길이다. 이에 따라 큰 틀을 잡고 마을자원조사 등을 거쳐 코스를 다듬어가고 있는 섶길추진위는 섶길 조성뿐만 아니라 길 주변 환경개선 효과에도 집중하고 있다.
현재 섶길코스로 되어 있는 길들 중 몇 부분은 공단이나 황해자유구역 등 개발계획이 있는 곳들을 지난다. 예를 들면, 원효길 주변에는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과 공단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오고간다. 하지만 삭막하고, 위험해 보이는 이미지를 안고 있어 추진위원들도 걷기를 꺼려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섶길추진위는 향후 공단 및 개발사업 부서들에 협조를 요청해 사람들이 걸을 수 있는 좋은 길로 만들기 위해 협의해나갈 예정이다. 장순범 섶길추진위원장은 “섶길은 평택의 변화된 모습을 볼 수 있는 소중한 길이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길만 찾아가는 것이 아니라 코스를 만들며 사람들이 쾌적한 길을 걸을 수 있도록 환경을 개선하는 노력도 함께해야 한다”며 의지를 보였다.
아울러, 섶길추진위원들은 송탄 신장동 일대에 남아있는 골목길과 함께 신장동 쇼핑몰, 국제중앙시장 등 옛 숯고개길을 둘러보는 13번째 코스 ‘다문화길’ 구성을 위해 문화자원조사도 지속적으로 병행할 계획이다.
자연의 품에서 휴식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고, 지역의 깊은 역사를 느낄 수 있는 평택섶길을 걸어보자.
안내표지판이 잘 구축된 대추리길, 비단길, 명상길 외에 아직 안내표지판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노을길, 원효길, 소금뱃길, 신포길, 황구지길, 뿌리길, 숲길, 원균길, 과수원길 등 8개 코스를 걷고 싶은 단체 및 동호회는 평택섶길추진위(031-656-9360)에 연락하면 평택섶길추진위원의 설명과 함께 계절별로 실제 섶길을 느껴볼 수 있다.
미니인터뷰 장순범 평택섶길추진위원장

“평택섶길은 평택 브랜드가치 형성에 중요한 역할”
도시에 걷기 좋은 길이 있다는 것은 행복한 일입니다. 대구·제주도 올레길, 강릉 바우길처럼 사람들이 잘 알고 있는 길들은 적어도 10년 이상의 준비과정을 거쳐 시민들이 걸을 수 있는 길로 태어났습니다. 아직도 미완성인 섶길 코스와 안내표지판을 설치하고, 주변마을조사와 충분한 정보제공 등을 통해 많은 시민들이 편안하게 걸을 수 있게 되기까지는 최소한 3~4년 정도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실질적으로는 이제부터가 시민들이 걷기 좋은 길을 만드는 시작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길에는 많은 것들이 내포되어 있는 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특히, 수많은 개발과 발전이 이뤄지고 있는 평택에서 문화와 역사를 배우고, 편안하게 걸을 수 있는 ‘평택섶길’은 평택의 브랜드가치 및 경제적 가치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12개 코스 안내

①대추리길 ‘화해와 평화를 염원하는 길’ 15km(소요시간 4~5시간)
시청광장→배미 굴다리→망건다리→와룡교→노와2리→대추리 평화마을→행복마을→남산리 CPX훈련장→K6 정문 앞
②노을길 ‘평택호 노을 감상 및 안정리 로데오거리 다문화체험’ 16km(소요시간 5~6시간)
K6정문 앞→안정리 로데오거리→농성→팽성대교 서쪽 내리 유원지→팽택호 제방길→도두리 들판 팽성 신대리
③비단길 ‘신라시대 당나라로 가던 길’ 8.7km(소요시간 3시간)
팽성 신대리(평택호 횡단로 공사 중)→신왕2리→마안산 입구→구진마을→평택호 혜초비
※팽택호 횡단로 완성이전은 신왕2리 원신왕마을회관에서 출발
④명상길 ‘산·물·마을길을 통해 마음을 차분하게’ 4.1km(소요시간 1시간 30분)
원신왕 마을회관→옛 신왕나루→상여집→벽화→효열비→마을회관
⑤원효길 ‘원효대사가 지나가던 길에서 평택항 주변 발전상 체감’ 22.3km(소요시간 6~7시간)
평택호 혜초기념비→장수리→신영분교→평택항 마린센터→평택항 홍보관→원정초교→수도사
⑥소금뱃길 ‘철새도래지와 신포에 이르는 뱃길’ 25km(소요시간 7시간)
수도사→남양방조제→도곡교→햇살들농장→홍원4리→홍원초교→청옥중교→자미산성→신포
⑦신포길 ‘무성산성, 자미산성 거쳐 청북 옛 마을 정취’ 10.9km(소요시간 3시간)
신포→율북리→북평택TG→황구지교
⑧황구지길 ‘황구지천은 경기남부 지역을 아우르는 하나의 문화권 형성’ 12.4km(소요시간 4시간)
황구지교→세월교→회화리 교회→한온장군 사당→금암지→사리(통관사)→진위역
⑨뿌리길 ‘옛 진위현 관아 지나는 근현대 진위 모습’ 11km(소요시간 4시간)
진위역→진위중학교→가곡교회→무봉산 입구→만기사→진위면사무소
⑩숲길 ‘덕암산, 태봉산 등 숨 쉬는 생명자연길’ 15km(소요시간 5시간)
진위면사무소→마산리 주막→태봉산 입구→덕암산 약수터→원균장군 묘
⑪원균길 ‘원균장군과 관련된 역사문화 테마코스 길’ 5.3km(소요시간 2시간)
원균사당 주차장→원균장군 묘→생가 터→울음밭→덕암산길→주차장
⑫과수원길 ‘12km 이어지는 배밭길’ 18km(소요시간 5시간)
시청광장→배다리저수지→월곡동→칠원동 입구 칠원교→고분지 저수지→원균장군 묘 주차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