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평택·안성·용인시 상생협력토론회서 합의.
용역비 6억…도 2억4천, 3개 시 각 1억2천
시민단체, “합리적 제안 위해 차분한 준비 필요”

경기도와 용인․평택․안성시 등 3개시가 송탄상수원보호구역에 대해 공동 연구 용역을 진행하는 협약서를 체결했다.
9일 파주의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에서 남경필 경기도지사와 31개 시장․군수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상생협력 토론회’에서 이같이 합의하고 협약서를 작성했다.
당초 경기도는 용인시의 주장을 수용해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을 이번 상생협력 토론회 안건으로 상정하고 용역 범위에 대한 내용을 토론하려 시도했으나 평택시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평택시는 이미 지난 4월에 개최한 1차 연정에서 경기도와 3개 시가 용역에 대해 합의하고 도에서 정책연구사업계획을 수립․배포해 더 이상 토론이 필요치 않다고 판단해 이번 토론회 안건 상정에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체결된 협약서에는 ▲경기도와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는 진위·안성천 및 평택호 수계 수질개선과 상·하류 상생협력의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면서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와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는 ‘진위·안성천 및 평택호 수계 수질개선과 상·하류 상생협력 방안’에 대한 공동 연구를 추진하여 합리적 대안을 도출하기로 한다 ▲공동 연구는 경기도가 주관하고 용역비는 기관별로 분담한다 ▲경기도,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는 공동 연구가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 협조한다 ▲경기도와 평택․안성․용인시는 공동 연구 결과의 이행을 합의한다 ▲본 협약의 체결을 증명하기 위하여 협약서 4부를 작성하고 각 기관이 서명하여 1부씩 보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공동 연구는 경기도가 주관하되, 용역비는 경기도가 2억4000만 원, 3개 시가 각각 1억2000만 원씩 분담하여 총 6억 원이 소요된다.
송탄상수원보호구역 공동연구 용역 합의 소식을 접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용역 분담금 예산안이 진통 끝에 가결되고 3개 시가 협약까지 한 마당에 더 이상의 반대는 무의미 하다”며 “연구용역 진행 과정에서 보다 논리적인 접근과 합리적인 안을 제시하기 위해 차분하면서도 냉철하게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