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평택항과 연계한 ‘3개 시 상생협력 발전방안 용역’ 추진 밝혀

‘충남도계 및 당진 땅 수호 범시민 대책위원회’와 시민 600여명이 GS EPS(복합화력발전소) 앞에서 ‘평택 송전을 위한 북당진 변환소 건설저지 당진시민 궐기대회’를 가졌다.(사진출처:당진시)

당진, 평택 송전을 위한 북당진 변환소 건설저지 당진시민 궐기대회 열려
평택·당진·아산 ‘윈-윈’ 방안 마련 필요

평택시가 평택항 신생매립지 관할 구역 확정 이후 당진과 아산시와의 갈등이 격화됨에 따라 평택항을 중심으로 한 ‘3개 시 상생협력방안’ 연구용역을 추진한다.
시 관계자는 지난달 26일 평택시의회에서 열린 의원간담회 자리에서 “평택항과 연계한 3개 시 상생협력 발전방안을 마련해 갈등을 봉합하고 함께 지역발전을 꾀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추진 중에 있다”며 “총 1억50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용역을 의뢰해 2016년 10월까지 상생협력 발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앞서 4월 13일에 열린 행자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서 평택․당진항 신생 매립지를 평택시 관할로 귀속 결정한 이후 지속되어온 충청남도와 당진․아산지역 주민들의 집단행동은 시위와 집회 차원을 벗어나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까지 번져 급기야 공재광 시장의 허수아비를 만들어 매질과 화형식까지 진행하는 등 지역갈등의 골이 점점 더 깊어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뿐만 아니라 8월 20일에는 ‘충남도계 및 당진 땅 수호 범시민 대책위원회’와 시민 600여 명이 송악읍 부곡리에 위치한 GS EPS(복합화력발전소) 앞에서 “당진에서 생산한 전기를 평택에 줄 수 없다”며 ‘평택 송전을 위한 북당진 변환소 건설저지 당진시민 궐기대회’를 가졌다.

8월 21일 당진시 지역언론 보도에 따르면 궐기대회 참가자들은 “지난 5월 당진시가 자치권을 행사하던 당진항 매립지를 평택시로 지적공부 정리한 것도 모자라 평택의 고덕산업단지 전기 공급을 위한 북당진변환소를 건립하려 한다”며 강하게 불만을 토로했다.

또한, 이들은 “당진시민이 환경오염의 고통까지 감수하면서 생산한 전기를 관할권 분쟁을 일으킨 평택시에 공급하기 위한 변환소 설치를 반대한다”며 전기를 가져가려면 “당진항 매립지를 당진시로 돌려주고 송전선로를 100% 지중화 할 것”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당진시의 이러한 지역분쟁화 움직임에 대해 시민단체 관계자는 “지역갈등을 부채질하는 불필요한 소모적 분쟁을 자제하고 이제는 평택과 당진, 아산이 상생을 통해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할 때”라며 “황해경제자유구역 확대와 국가항만공사 설립 등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GS EPS는 지난 1996년 설립된 민자발전회사로 총 용량 1500MW급 LNG복합화력발전소 당진 1․2․3호기와 2.4MW 연료전지 발전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북당진변환소는 당진지역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교류에서 직류로 변환시켜 2017년까지 고덕산업단지에 150만㎾의 전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키워드

#N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