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레이더, 중국 대륙간탄도미사일 3000km 이상 탐지
중, 미국의 미사일 탐지능력 강화 우려

미국의 고고도 미사일방어 체계(THAAD, 이하 사드)가 한반도에 배치될 경우 중국과의 관계가 급속히 냉각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다. 이는 한․미 양국 국방부가 북한의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사드를 한반도에 배치한다는 본래 목적을 넘어서, 사실은 미국에 최대 위협이 되고 있는 중국의 대륙간탄도미사일을 방어하기 위한 미사일방어(MD)체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설치하려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면서 중국의 향후 대응방안에 촉각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겨레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사드가 한반도 배치시 중국에서 미국으로 발사되는 대륙간탄도미사일을 3000Km 이상 탐지가 가능해 사드 레이더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미 알래스카 기지에 전송, 조기에 요격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지난달 31일, 시어도어 포스톨 미 매사추세츠공과대학 교수와 조지 루이스 코넬대 평화․갈등연구소 선임연구원이 공동 분석한 결과를 한겨레 측에 제공하면서 처음으로 공개되었다. 두 학자는 미사일방어체계 분야에서 전문가로 손꼽히는 인물들로 이들의 분석결과, 한반도에 사드가 배치될 경우 미국으로 향하는 중국 탄도미사일의 상단 추진체 탐지에 용이한 측면과 후면을 충분한 시간동안 추적할 수 있어 미국에 매우 유용한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두 학자에 따르면 냉전시대 종식 후 강대국들 사이에 ‘상호확증파괴’전략을 기초로 어느 쪽도 선제공격을 하지 못하는 핵 억제력에 의한 전략적 균형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균형은 어느 한 쪽이 미사일방어체계에 의해 상대방의 보복 역량을 무력화 시킬 수 있다는 확신을 들게 한다면 선제공격의 유혹에 빠지게 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중국의 둥펑(DF)-5 미사일이 미 본토를 공격하는 상황을 가정할 경우 탄두가 추진로켓에서 분리되어 관성 비행을 할 때 레이더 반사 면적이 넓어 ‘앞부분에서 후면까지 거의 모든 방향에서 3700km까지 탐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 사드 레이더의 능력을 고려해 볼 때 사드 배치가 이 민감한 미사일방어체계와 깊은 연관을 맺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이에 대해 포스톨 교수는 “중국이 미 본토에 대한 핵 공격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면 미국 공격의 걸림돌이 되는 한국의 사드 레이더를 공격할 수 있다는 점을 한국정부와 국민들이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중국은 사드 배치를 안보에 중대한 위협으로 인식하고 지난달 31일 쑨젠궈 중국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이 싱가포르 아시아안보대화에서 한민구 국방장관을 만나 우려의 뜻을 전달하기도 했다.
평택평화센터 강상원 센터장은 “미국과 중국의 대결 상황이 벌어지면 사드 배치의 최적지로 거론되는 평택이 중국의 최우선 공격대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평택시민과 더 나아가 한반도의 안위를 위해 사드 배치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