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안성·용인시 공동 연구용역 합의
존치와 해제 놓고 지역사회 논란 예상

평택·안성·용인시가 지난 3일 경기도 주관으로 실시된 ‘1박2일 상생협력 토론회’에서 송탄·유천 취수장 상수원 보호구역 갈등 해소를 위해 최적의 방안을 함께 찾자는 데 의견을 같이 한 것으로 알려져 지역사회 논란이 예상된다.
평택시 정상균부시장과 용인시 정용배부시장, 안성시 황은성 시장 등은 2시간여 동안 진행된 토론을 통해 ▲ 진위ㆍ안성천, 평택호 수질개선 및 지역발전 방안 ▲ 안정적 상수원 확보 방안 및 상수원 보호를 위한 규제 합리화 방안 ▲ 상수원보호구역 상ㆍ하류 주민의견 수렴을 위한 공동 연구용역을 의뢰키로 합의 했다. 향후 연구 결과를 토대로 상생 협력사업의 추진 시기와 비용 분담 문제 등을 협의하고 수질개선 목표를 설정해 달성여부 평가 및 규제완화 시기를 판단할 예정이다.
경기도와 3개 시는 이달 중에 상생협력 공동 협약을 추진하고 과업범위, 소요 예산에 대한 협의를 마무리 한다는 방침으로 공동 연구용역에 대한 구체적인 협의는 5월 중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평택시 상하수도사업소 관계자는 “평택호의 여과필터 역할을 하고 있는 상수원보호구역의 해제 및 축소는 수질 개선이 전제가 되어야 가능하다”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및 축소의 권한이 우리시에 있는 만큼 면밀히 검토해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조정묵 평택시지속가능발전협의회 평택호상수원보전특별위원회 위원장은 “상수원보호구역은 평택의 생명수로 자연환경과 생태계, 도농복합도시인 평택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반드시 존치되어야 한다”며 “이 문제만큼은 양보할 수 없는 사안으로 협의체 구성을 통해 평택시민들의 의지를 모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및 축소를 끊임없이 요구하고 있는 안성ㆍ용인시는 취수원 이전과 보호구역 해제 및 축소를 통해 공장 설립 가능 지역 확대를 꾀하고 있다. 향후 상수원보호구역이 해제되거나 축소되면 일반폐수 배출업소가 상수원 주변에 들어서 수질이 급격하게 나빠지고 고품질 브랜드로 각광을 받고 있는 평택 농산물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