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문화 융성에는 현장에 기초한 행정전문가의 식견 필요

공연예술 지원에 행정기획 지원도 병행돼야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라 지방문화원의 균형발전과 상호협조, 공동이익 증진을 위하고 민족 문화 창달과 국제교류를 위해 설립된 한국문화원연합회는 전국 229개 지방문화원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2월 25일자로 3년간의 한국문화원연합회 회장 임기를 마무리하고 돌아온 오용원 전 회장은 2007년부터 평택문화원과 경기문화원연합회를 거쳐 총 8년을 문화원 울타리에서 지낸 셈이다. 한국문화원연합회장 자리를 내려놓은 지 일주일째 되던 날 합정동 조용한 카페에서 오 전 회장은 평택문화가 어떤지, 발전을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털어놓았다. 이야기는 지난 8년간 평택문화원장과 경기·한국문화원연합회장 실제 경험 등을 바탕으로 거침이 없었다.

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과 지역문화진흥법에 따라 지원을 받는 법정 단체다. 그러나 지역마다 자치단체장에 따라 문화원 위상이 다르다. 오 전 회장은 지방문화원은 많은 에너지를 분출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자치단체장이 문화를 재정으로만 살펴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평택은 3개 시군통합과 도농복합도시에 주한미군 주둔이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평택’이라는 정체성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문화원을 중심으로 역동적으로 해 나갈 수 있다. 지역문화와 공동체 발전의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국가지정문화재인 평택농악은 전국 6대 농악 중 유일하게 상임단원들이 월급형태로 지자체 지원을 받고 있다. 문화원장 재직 농악발전연구를 위한 지원조례를 만들어 상임단원들 급여를 책정하고, 다양한 경로를 통해 지원받을 수 있도록 힘쓴 결과다. 웃다리문화촌 역시 당시 만들어졌다. 당시 폐교예정이던 금각분교를 어떻게 지역문화 공간으로 바꿀 것인가를 고민하던 중, 2007년 문화관광부 생활친화적 문화공간 조성사업 공모에 최우수로 선정되면서 시작할 수 있었다고 한다. 웃다리문화촌처럼 도시재생사업에 문화원이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 웃다리문화촌을 통해 보듯 문화발전이 지역공동체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평택문화가 발전하려면 문화예술, 특히 평택농악과 같은 공연단체들을 위한 전문기획 행정시스템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국축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공연이 평택에서 나오려면 공연의 질을 높여야 하는데, 그 우선순위가 공연과 행정의 분리라는 것이다. “공연하는 이들은 해당 분야의 전문가지만, 공연기획과 홍보에는 취약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공연에 매진할 수 있도록 행정지원이 있어야 한다. 공연예술가들이 행정까지 하려면 경쟁력을 갖기 어렵다.” 그가 말하는 행정은 단순히 문서작업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기획력과 언론보도, 마케팅 능력을 갖추고, 공연단체와 시민·공공기관 사이에 다리 놓는 전문가 집단을 뜻한다. 오 전 회장은 행정은 공연예술계를 시민과 공감하게 하는 역할을 해 줘야 하고, 그 역할을 지역언론이 도와야 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한다.

지영희 기념사업회 상임이사이기도 한 그가 자신의 생각을 구체화시키기 위해 밝히는 내용들은 예술경영이론과 한국음악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은 행정전문가답다. 지영희 기념사업회는 올해 평택이 자랑하는 지영희 선생의 인간문화재 복권을 역점사업으로 추진한다. 지영희 선생 묘 이장과 추모사업의 일환으로 하와이 호놀룰루와 자매결연을 추진한다.
지방문화는 현장에 기초한 행정전문가의 식견이 필요하다는 오 전 회장은 문화행정에 대한 좀 더 큰 꿈을 꾸고 있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