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커진 평택의 각 정치세력 통합 정치력 보여야

국민은 ‘친재벌·반서민’을 심판했다

6·2 지방선거가 끝났다. 전국적으로 집권 한나라당이 참패하고 민주당 등 야권이 약진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금까지 해왔던 대로 4대강 사업이나 세종시 수정안 등의 일방적인 ‘밀어부치기식’ 국정 운영기조를 더 이상 유지할 수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과 경기도, 부산·대구·경북을 제외한 주요 지방권력이 야권의 수중에 떨어졌다. 기초지방자치단체도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는 대다수가 야권의 손에 들어왔다. 광역의회도 마찬가지다. 대단한 지방권력 지형의 변화이다. 평택 역시 민주당 시장이 당선되고, 경기도의회 역시 민주당 출신이 대거 당선됐다. 시의회는 여·야가 대등하게 균형을 맞췄다.

이번 지방 선거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국민이 오만과 독선에 빠진 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을 심판한 것이다. 아울러 사회적 양극화와 ‘고용 없는 성장’으로 상징되는 이 시대에 ‘무상급식’이나 일자리, 복지정책문제가 이번 지방선거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각되면서 이명박 정부의 친재벌·반서민 정책에 대한 유권자의 반감이 표로 결집된 것이다. 이제 이명박 정부는 절차적 민주주의와 서민 중심의 정책, 고용과 일자리·복지를 우선하는 정책으로 대 전환을 이루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 향후 2012년 총선과 대선에서 한나라당은 또다시 국민적 심판을 면치 못할 것이다. 

그럼 이번 평택지역의 선거 결과가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평택지역에서는 시장은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고, 도의원도 4명 중 3명이 민주당 후보다. 시의회는 한나라당이 다수이지만, 민주당 및 민주노동당의 세력이 거의 대등하게 구성됐다.
이 같은 결과는 한마디로 전반적 평택시정의 주도권이 한나라당에서 민주당으로 넘어가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시의회는 여전히 한나라당이 다수당이지만 평택시장의 권한이 막강한 반면, 의회 권력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시정부의 주도권은 민주당으로 넘어갔다는 것이 이번 선거결과가 의미하는 바일 것이다.

또한 민주당 후보가 평택시장에 당선됐다는 것은 평택지역 시장선거 역사상 처음으로 야당시장이 탄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동안 평택시장은 집권 여당 후보가 당선되는 흐름을 이어왔으나 이번에는 그 흐름이 꺾인 것이다.

최초의 야당 출신 시장이 집권하는 시대가 된 평택. 그러나 여전히 경기도지사는 한나라당 출신이고, 시의회는 한나라당이 다수당인 평택. 국회의원은 한나라당 출신과 민주당 출신이 각각 공존하는 곳. 민주노동당으로 대변되는 진보진영이 비교적 튼튼히 뿌리를 내린 곳. 이것이 이번 선거로 나타난 평택지역의 정치 지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선기 평택시장 당선자를 비롯한 각 정치 세력은 향후 평택사회를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가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해야 한다. 각 정치세력은 이제 본격적인 정치적 시험무대에 섰다고 볼 수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 민주노동당은 평택사회를 이끌어 가는 정치세력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각종 부정적 평가에도 불구하고 정당정치로 지방정치가 꾸려져갈 수밖에 없다는 것을 명백하게 보여준 선거이다. 앞으로 각 정치세력들이 때론 격렬하게 대립할 때도 있지만, ‘평택’이라는 큰 틀에서 서로 협력하고 통합해 가는 정치력을 보여주어야 한다. 앞으로 4년간 김선기 시장 당선자 뿐 아니라 3선 도전에 실패한 송명호 현 시장, 한나라당 원유철 국회의원, 민주당 정장선 국회의원, 원외이지만 한나라당 박상길 평택을 당협위원장, 김용한 민노당 평택시장 후보 등 지역의 정치지도자들은 평택시민들에게 희망의 평택, 살기 좋은 평택을 만드는데 통합적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우선, 김선기 시장 당선자는 시장 취임 이전에 시정을 어떻게 슬기롭게 풀어나갈 것인지 시민들에게 명확한 비전과 입장을 제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치열했던 이번 선거과정에서 각종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검찰수사가 진행되는 등 어지러운 상황이다. 검찰은 법에 따라 엄정하게 수사하고 처리하되, 평택시민과 시정의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빠른 시일 내 선거관련 사건 처리를 마무리해줄 것을 주문한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