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민영화 경우 전력공급 차질 우려된다'

일부 시민들 '공기업 민영화는 당연한 일'


전국적으로 발전산업노조가 파업을 강행하고 이에 회사측은 노사협상을 중단하는 등 양측이 대립이 팽배해지고 있는 가운데 민주노총 평택·안성지구협의회와 평택발전노조는 지난 9일 평택역과 경찰서 앞에서 '발전소 매각반대 및 발전노조파업투쟁승리결의대회'를 시작으로 11일 안성선전전, 12일 평택화력발전소 정문집회, 13일 안정리·송탄 선전전 등 강력하게 맞서고 나섰다.

9일 연대집회는 16개 지역에서 열린 민노총 동시다발 결의대회로 평택화력발전 가족대책위원회와 평택, 경기지역 민노총 조합원 4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발전소 매각 철회와 생존권 사수'를 외치며 2시간 가량 진행됐다.

이에 발전노조측은 2월 25일 총파업 이후 우리나라의 전력공급사태가 눈앞에 왔으며 여기에 대해 정부와 회사가 명확하게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발전소의 매각 방침을 철회할 것과 노동자 중심의 단체협상, 해고자들에 대해 원직으로 복직시킬 것을 요구했다.

또한 민영화로 인해 2001년 2월 캘리포니아가 단전되 사태를 예로 들어 정부가 반드시 매각만이 살길이라고 주장하는 데에는 타당성이 없으며 현재 파업중인 5천3백여명의 조합원들이 없어도 정상적인 전력 공급을 할 수 있다는 말은 파업 세력을 와해시키기 위한 거짓말이라고 주장하며 노조측의 요구를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평택발전소의 한 근로자는 현재 작업 인원의 70%정도가 현장에서 정상근무 하고 있으며 원자력노조의 파업 불참과 함께 화력발전소의 정상운행으로 전력공급에는 아무런 차질이 없으나 다만 장기화 될 경우 인력의 효율적인 운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한편 한 시민은 '고용불안'을 이유로 매각을 반대하는 발전노조의 집회는 시민들의 이해를 구하기 힘들 것이라며 공기업의 민영화는 반드시는 아니지만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평택화력발전소는 복합화력발전소로 현재 9기의 발전터빈이 가동 중에 있으며 1기는 지난달 25일 고장으로 수리중에 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