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 토공 잇따라 방문해 협조요청

고덕국제신도시 개발지역내에 있는 120여개의 중소기업이 타 지역으로 이전하지 않고 관내에 남기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뾰족한 대안을 찾아내지 못하고 고심 중에 있다.
이주대상 기업인들은 “평택에 남고 싶어도 보상을 받은 돈으로는 조성된(또는 조성되는) 산업단지로 가기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어떻게 할지 고민 중에 있다”고 말했다.

기업들이 고심 끝에 내놓은 대안은 비교적 지가가 싼 보전관리지역에 집단개별이주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협조해 달라는 것인데, 이 역시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고덕국제신도시 기업대책위원회(위원장 김평중)는 지난주 송명호 평택시장과 토지공사 고덕사업단을 잇따라 면담한 뒤 소기업의 상황을 설명하고 이주대책을 세워달라고 요청했다.
기업대책위는 송 시장과 면담하는 자리에서 “개별이주단지를 조성할 수 있도록 보전관리지역을 일부 완화시켜 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는 “기업들의 상황과 입장은 충분히 이해하나, 보전관리지역을 완화시켜주는 것은 특혜에 해당되기 때문에 받아들이기 어렵다”면서 “대신 계획관리지역에 제2종지구단위계획(산업용)을 수립해 오면 입지를 검토한 뒤 최대한 협조를 해 주겠다”고 답변했다.
토지공사의 입장도 비슷하다.

토지공사 고덕사업단 용지1팀 오승근 차장은 “기업들이 이전부지를 선정해 오면 검토해 보고 진입도로나 배수로 공사 등을 지원하겠다는 것이 토지공사의 기본입장”이라고 답변했다.
오 차장은 이어 “공장이전의 알선은 얼마든지 해주겠지만 개별이주단지 조성은 선례가 없기 때문에 단독결정은 어렵고 국토해양부와 협의해 봐야한다”고 말했다.
고덕국제신도시 기업대책위 안교선 사무국장은 “평택시나 토공의 입장을 모르는 바는 아니나 소기업들의 현실적 상황을 헤아려 주고, 지역에서 계속 기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해 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