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이전사업 환경영향평가 최종보고 29일 개최

국방부 주한미군기지 이전사업단 권행근 단장은 지난 20일 평택기지 시설종합계획(MP 마스터플랜)을 최종 작성했다고 밝히고 이 같은 내용을 소개했다.
국방부는 또 기지터를 2~3m높이는데 5000억원 가량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됐던 성토비용은 3000억원~4000억원 수준으로 낮추는데 미측과 의견접근을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과 미국 두 나라는 이달 안에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합동위원회 승인을 거쳐 5월게 사업관리 용역업체를 선정할 계획이다.
또 이달 말 주민들이 이주를 하게되면 6개월간 문화재 시굴조사와 지질조사를 벌이고 9월부터 연약지반부터 공사를 착수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또 공사를 원활하게 하기위한 공사용 도로(너비 8m 높이 1m 길이 8km)를 8월말까지 개설하기로 했다.
추가로 확장되는 기지에는 소화기 사격장과 훈련장, 18홀 골프장, 시뮬레이션센터, 초중고교 및 주거지역, 여가시설지역 등이 들어서게 된다.
또 기존 기지에는 한미연합사와 유엔사, 최첨단 지휘장비가 설치된 지하벙커, 미8군사령부 등의 건물이 건설될 예정이다.
국방부는 또한 시설종합계획의 발표와 함께 29일 오후2시에 팽성서부다목적회관에서 주한미군기지이전사업 환경영향평가 최종보고회를 갖는다.
이 자리에서는 지난해 9월 평택지역 시민들이 요구한 환경영향평가 문제점에 대한 조치사항 등을 설명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평택미군기지확장저지 범국민대책위와 평택대책위는 국방부의 시설종합계획 발표이후 성명을 내고 “국회는 본회의 처리를 앞둔 방위비분담 7차협정안에 대한 비준동의 절차를 중단하고, 방위비 분담금을 대폭 삭감하는 방향으로 정부가 미국과 전면 재협상에 나서라”고 요구하고 “부실한 시설종합계획을 전면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범국민대책위는 또한 국회는 미군기지재배치사업 전반과 방위비분담금을 통한 미2사단이전비용 부담문제 등에 대한 국정조사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