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소공원조성사업’ 계획과 현실 맞지 않아 주춤
2014년까지 10개 사업 1조1102억원 투입해 지원
주한미군기지이전에 따른 평택지원특별법에 근거해 추진 중인 미군기지 공여구역 주변지역(경계로부터 3km 이내지역) 주민편익 시설사업이 순탄치 않다.
특히 마을소공원조성사업은 평택시에서 세운 계획과 마을의 현지 상황이 맞지 않아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을소공원 조성사업의 경우 시는 올 해 팽성읍 17곳, 평택북부권(진위, 서탄, 고덕) 17곳, 평택서부권(오성, 안중, 현덕) 14곳 등 총 48개 마을에 소공원을 조성키로 계획하고 마을 이장들에게 신청을 받았다.
시는 해당 마을 이장들에게 소공원 부지를 확보할 경우 토지보상비와 조성비를 포함해 도심지에서 1km이내의 마을에는 6억원, 1km이상 떨어진 마을에는 4억원을 지원해, 작게는 300평에서 크게는 500평 규모로 소공원을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사업신청을 받은 결과 예상과는 달리 팽성읍 지역의 경우 대상 마을 17곳 중 3개 마을, 서부지역은 14곳 중 10여개 마을, 북부지역은 17곳 중 10여개 마을이 사업신청 의사를 밝혀왔다.
이렇듯 사업이 부진한 가장 큰 이유는 공원을 조성할 마땅한 공간이 없는 경우도 있고, 또 설사 있다 하더라도 토지보상비를 지급할 때 실거래가가 아닌 감정평가에 의한 보상으로 주기 때문이다.
특히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겪고있는 팽성읍의 경우 공원부지로 사용할만한 지역의 땅값이 평당 실거래가가 200만원~300만원에 달해 전체 사업지원비를 훌쩍 넘긴다.
시 주민지원과 지역개발팀 담당자는 “소공원 조성비의 전체금액이 정해져 있어 어느 특정지역만 지원금을 더 늘려 줄 수도 없는 형편”이라면서 “해당 읍면과 시가 나서서 지역주민들을 설득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업추진이 어려워지자 시는 대안으로 연접한 2~3개 마을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1곳을 지정해 온다면 사업비를 합쳐서 지원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마을 이장들의 움직임도 분주하다. 신대1리와 신대3리는 일찌감치 개별추진을 포기하고 공동으로 추진하기 위한 논의에 들어갔다.
신대1리 김덕일 이장은 “소공원 부지를 알아봤으나 마땅한 곳을 찾지 못해 신대3리와 함께 사업비를 합쳐 추진해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시가 추진하는 주변지역 주민편익시설사업은 기지주변마을로 분류된 145개 마을을 대상으로 2014년까지 총 사업비 1조1102억원을 투입해 소공원 120개소(580억원), 마을회관 개축 66개소(251억원), 보안등설치(8억원), 마을진입도로 개설(1518억), 소하천 정비 2개소(4838억원), 체육시설 설치 10개소(505억원), 주민숙원사업(1181억원), 도시계획시설 정비 101개소(1600억원) 등 10개 분야에 투여해 그동안 미군기지로 인해 지역개발에서 소외된 부분을 만회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추진되는 것이다.
이 외에도 시는 6억원을 투여해 마을별로 마을이정표를 세워주기 위해 현재 용역을 의뢰해놓은 상태다.
한편 이 사업은 2014년까지 매년 연차별 계획에 따라 사업이 추진되며, 시는 사업계획안을 작성해 국방부와 협의한 뒤 지원금을 받아 집행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