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북,견산,복남,가곡리 등 2016년까지 인구 2만 수용 목표

평택시가 지난 10월 초순 진위면 하북리와 견산리 일원 110만평에 대한 국토이용계획변경안을 경기도에 제출, 현재 도건설종합심의위원회 심의중에 있음이 알려지자 도시계획지역 범위만 확대하는 것 아니냐는 불만과 환영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향후 도시계획 대비 위해…일부시민 '확대만 한다'불만도

현재 평택시는 진위면 일원의 향후 인구수용과 토지의 효율성을 높이고 장기적인 도시발전을 도모키 위해 도시계획수립을 위한 국토이용계획 변경안을 제출, 진위면 하북리, 견산리, 봉남리, 가곡리등 110만평규모에 2016년까지 인구 2만 수용의 주거지개발 조성 계획을 밝히고 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진위면 일원 주민들은 향후 지역 발전에 대한 기대감에 부풀어 있는 가운데 지역경제를 위해서 지역에 흩어져 있는 기존의 공장지역은 존속시켜주고 공장증설을 할 수 있도록 배려해서 도시계획을 세워줄 것을 요구하며 도로등 기반시설이 취약한 지역현실을 볼 때 주거지개발을 위한 도시계획이 수립되면 쾌적하고 살기 좋은 지역으로 각광 받게 될것이라고 기대하며 크게 환영하고 나섰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평택시가 그 동안 도일동, 비전동, 동삭동, 용이동등 많은 지역을 도시계획지역으로 묶어 놓고 실제 개발은 제대로 하지 않고 있으면서 도시계획지역만 자꾸 확대하려는 이유가 뭔지 의심스럽다고 말하고 도시계획지역확대에 힘쓰기 보다는 도시계획지역으로 지정된 지역개발에 치중해야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3개시군이 통합된 지역 특성상 전체인구에 비해 도시가 3분되어 흩어져 형성되어 있어 제대로된 규모의 상권도 부재한 가운데 소규모 주거지를 여기저기 개발하면 지역경제를 위한 상권형성에도 큰 도움이 되지 못하고 지역간 주민 통합에도 문제가 있다며 도시개발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서 지역상권 형성과 주민통합을 고려하는 신중함을 기해줄 것을 요구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