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시스템 복구율 40%

709개 시스템 중 284개 정상화 주민등록증 모바일 확인서비스 등 1등급은 40개 중 77.5% 복구 국민신문고·문서24 등 9개는 아직

2025-10-15     한아리 기자
10월 14일 기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마비된 정부 시스템의 40%가 복구됐다. 사진은 평택시청 종합민원실을 방문한 시민들의 모습.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해 마비된 정부 시스템 복구가 지지부진하다. 초기 주요 서비스는 3일 만에 재가동됐으나, 전체 시스템의 완전 정상화까지는 수일이 더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10월 14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이날 기준 총 709개 장애 시스템 중 284개가 복구됐으며 복구율은 40%다.

화재 발생 19일째인 이날 425개 시스템이 여전히 복구되지 않은 상태다. 작업은 시스템 중요도에 따라 등급별로 진행되고 있으나, 하드웨어 손상이 심한 시스템들의 복구가 지연되면서 진척 속도가 둔화되고 있다.

시스템 복구는 중요도에 따라 1등급부터 4등급까지 우선순위를 정해 진행되고 있다. 국민 체감도가 가장 높은 1등급 시스템은 전체 40개 중 31개(77.5%)가 정상화됐다. 정부24, 모바일 신분증 등이 1등급에 포함된다.

2등급은 68개 중 35개(51.5%), 3등급은 261개 중 118개(45.2%), 4등급 340개 중 100개(29.4%)가 복구됐다. 2등급부터 4등급까지는 주로 기관 간 정보 교환, 내부 행정망, 통계 시스템 등으로 구성돼 있다.

현재 국가법령정보센터 일부 서비스, 행정정보 공동이용 시스템, 각 부처 내부 행정망 등이 여전히 작동하지 않고 있다. 복지, 보건, 안전, 통계 관련 시스템도 다수 포함돼 있어 해당 기관 업무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정상화되지 않은 1등급 시스템은 ▲통합보훈(보훈부) ▲국민신문고(권익위) ▲국가법령정보센터(법제처) ▲공공테이터포털·국민비서 홈페이지·국민비서 알림서비스·안전디딤돌·재난관리업무포털 통합상황관리·문서24(행안부) 등이다.

정부는 화재 직후 9월 27일 항온항습기를, 28일까지 네트워크 장비를 복구해 순차적으로 서비스를 정상화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실제로 초기 복구는 신속하게 진행됐으나, 화재나 분진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전산실과 장비의 복구는 예상보다 오래 걸리고 있다. 정부는 신규로 도입한 전산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10월 15일 이후 복구되는 시스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화재가 발생한 5층 8전산실은 11일 분진 제거와 전원공사 작업을 완료해 전기 공급이 재개됐다. 화재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은 7, 7-1전산실의 시스템은 장비수급 상황 등을 고려해 대구센터와 대전센터 내의 타 전산실로 이전해 복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정부는 대구로 이전해 복구할 시스템 20개를 선정했다.

김민재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제1차장(행정안전부 차관)은 “시스템 복구와 상황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불편이 신속히 해소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