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평택시 예산 어떻게 편성됐나 4 - 환경국 푸른도시사업소 상하수도사업소

2025-02-12     김기수 기자

환경국은 2357억5978만원으로 전체예산의 9.7% 

푸른도시사업소 677억9716만원으로 2.79%        

상하수도사업소는 3074억5322만원, 12.65% 차지

평택시 2025년 본예산 살림살이 규모는 2조4314억원으로 편성됐다. 이는 지난해 12월 18일 평택시의회 정례회에서 확정된 것으로 2024년 본예산 2조2936억원보다 1377억원(6.01%) 증가한 규모다.일반회계는 2조279억원으로 2024년보다 3.24%(635억원) 증가했고, 특별회계는 4034억원으로 지난해에 비해 22.54% (742억원) 증가했다.

본지는 7회에 걸쳐 2024년 예산이 평택시 각 부서에 어떻게 편성돼 어떤 사업에 쓰일지 살펴보고 있다. ‘2025 평택시 예산 어떻게 편성됐나’ 4번째 순서로 지난호 복지국 편에 이어 환경국과 푸른도시사업소, 상하수도사업소를 다룬다. 환경국 예산은 2357억5978만원으로 지난해 보다 105억374만원이 증가했다. 평택시 전체예산의 9.70%를 차지한다. 이는 지난해 9.82%보다는 약간 줄어든 비중이다. 푸른도시사업소는 677억9716만원으로 지난해 보다 931억1916만원이 증가했다. 시 예산의 2.79%를 차지한다. 상하수도사업소는 3074억5322만원으로 지난해 보다 319억7076만원이 증가했다. 시 전체 예산의 12.65%를 차지한다.

 

환경국

환경국은 환경정책과, 자원순환과, 환경지도과, 생태하천과, 식품정책과 등 4개 과로 구성됐다. 이곳의 업무는 환경보전 종합계획의 수립·조정, 대기환경, 청소 및 재활용, 폐기물(쓰레기) 처리 및 관리, 하천 생태 정비계획 및 유지관리, 위생관리의 종합기획 및 조정 등 환경 관련 분야를 망라한다. 날로 높아지는 환경의 중요성을 반영해 평택시 전체 예산의 9.70%인 2357억5978만원의 예산을 집행하게 된다. 이는 지난해 예산 보다 105억374만원원이 증가된 수치다. 과별로 보면 환경정책과 465억9698만원, 자원순환과 1403억2090만원, 환경지도과 6억1285만원, 생태하천과 465억9172만원, 식품정책과 16억3730만원 등으로 나뉜다.

 

■환경정책과

환경교육센터 운영 3억1000만

수소전기차 보급 149억8000만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158억3800만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

45억4782만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설치

45억4600만

환경정책과 예산은 465억9698만원이다. 우선 청정도시 구현을 위해 2억5479만원을 편성했다.

야생동물 구조 1603만원, 야생동물 피해저감 2664만원, 유해조류 퇴치 2502만원, 생태교란 생물퇴치사업 3000만원, 덕목제 습지 유지관리 2200만원, 평택시 도래 황새 보호 700만원, 환경보전활동지원 4000만원, EM주민보급사업 7561만원 등의 예산이 사용된다.

기후변화 대응과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한 대기오염 환경관리 예산으로 405억219만원이 편성됐다. 먼저 기후변화 대응에 1억7860만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온실가스 목표관리 6960만원, 탄소포인트제 운영(국비) 8000만원, 자동차탄소포인트제 운영(국비) 2900만원 등이 사용된다.

청정대기환경조성에 402억3377만원이 편성됐다. 구체적으로 환경교육센터 운영관리비 3억1000만원, 스마트환경관리센터 운영 4200만원, 수소충전시설 운영 10억664만원,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에 45억4782만원, 수소전기차 보급사업(국비) 149억8000만원, 전기자동차 구매지원 158억3800만원, 전기이륜차 보급사업 9430만원,보증기간 경과장치 성능 유지관리 1억9362만원, 소규모 사업장 대기오염물질 방지시설 지원 4억1170만원, 대기오염측정망 유지관리 1억9800만원 등을 쓴다. 대기오염 안내전광판 유지관리 3954만원, 미세먼지 알림시스템 유지관리 4896만원, 슬레이트 처리 및 개량 지원 6억7500만원, 석면피해 구제 급여 4억1107만원, 가스열펌프 저감장치 부착지원(국비) 3억986만원, 도로재비산먼지 저감사업 8억18만원, 환경개선 부담금 부과 징수 8981만원 등도 편성됐다.

깨끗한 수질 환경관리를 위해 57억2600만원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설치사업(국비) 45억4600만원, 평택축협 가축분뇨공공처리시설 설치관련 지역 숙원사업(안화리 도시가스 설치지원) 11억8000만원 등이 사용된다.

 

■자원순환과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민간위탁

520억

에코센터 생활폐기물 반입 수수료

102억

수도권 매립지 쓰레기 반입 수수료

14억9160만

음식물류 폐기물 반입수수료

48억2361만

에코센터 운영관리 96억1766만

환경미화원 인건비 84억9023만

자원순환과는 아름답고 깨끗한 도시환경을 위한 폐기물 관리를 담당한다. 이를 위한 예산은 일반회계 1072억510만원, 폐기물처리시설특별회계 331억1580만원 등 1403억2090만원이다.

우선, 아름답고 깨끗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694억5631만원이 투입된다. 종량제 규격봉투 및 대형폐기물 관리시스템 유지보수 6590만원, 종량제 규격봉투 제작 15억1535만원, 대형폐기물 스티커 제작 1억500만원,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및 가로청소 민간위탁비 520억원, 평택에코센터 생활폐기물 반입 수수료 102억1788만원, 평택에코센터 반입불가 폐기물 처리비 38억5만원, 수도권 매립지 쓰레기 반입 수수료 7억5726만원, 생활폐기물 폐기물처분부담금 2억3360만원 등이 사용된다. 또한 도시환경 장비운영 2억1364만원, 환경미화원 관리 4억3953만원,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원가산정 용역 2000만원, 생활폐기물 수집운반업체 평가 용역 1800만원 등도 편성됐다.

자원재활용 극대화를 위해 98억7144만원이 투입된다. 알뜰나눔장터 운영 7049만원,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 억제 계획 수립 연구용역 2000만원, 평택에코센터 음식물류 폐기물 반입수수료 48억2361만원, 평택에코센터 재활용품 폐기물 반입수수료 36억5790만원, 농촌폐비닐 수거장려금 6977만원, 음식물폐기물 종량제기기(RFID) 운영지원 1억2749만원, 클린존 사업 3억원, 다회용기 재사용 촉진 지원사업(국비) 2억원, 장례식장 다회용기 대여·세척서비스 지원(도비) 3억원 등이 사용된다.

고덕면 에코센터 운영관리에 96억1766만원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평택에코센터 최종폐기물 처리비 80억4863만원, 평택에코센터 최종폐기물 폐기물처분부담금 1억1332만원, 평택에코센터 폐수 연계처리 고덕공공폐수처리시설 사용료 12억4200만원, 평택에코센터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 1억9182만원 등이다.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27억8042만원이 투입된다. 먼저 생활폐기물 관리에 13억7720만원, 깨끗한 쓰레기처리 감시원 운영에 8억2857만원, 읍면동 적치 폐기물 처리비 9000만원, 환경장비 운영 2억1600만원, 공중화장실 운영 1억824만원 등이다. 이밖에 환경미화원 인건비로 84억9023만원이 사용된다. 폐기물처리시설 특별회계는 통합재정안정화기금(통합계정) 예탁금 327억8580만원이 내부거래로 지출된다.

 

■환경지도과

악취실태조사 연구개발비 2억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1억4990만

환경지도과는 환경오염 지도감시를 담당하는 부서로 올해 예산은 6억1285만원이다. 환경지도활동 지원 3174만원, 환경오염행위 신고 보상금 100만원, 환경감시단 활동 보상금 4500만원, 읍면동 폐기물 모니터링단 활동 보상금 864만원, 수질오염사고 방제 및 처리 2500만원, 악취관리지역 악취실태조사 연구개발비 2억원, 유해화학물질 사고대응 1억4990만원, 방치 및 불법투기 폐기물처리 2200만원 등을 편성했다.

 

■생태하천과

자연친화적 하천정비27억1982만

오성강변 르네상스 사업 40억

평택강 브랜드 활성화 3억

고덕공공폐수처리시설 민간위탁금 278억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와 맑고 깨끗한 수질 만들기, 수변도시 브랜드 창출 사업을 담당하는 생태하천과의 올 예산은 일반회계 103억4134만원, 특별회계 362억5038만원 등 465억9172만원이다.

우선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에 27억1982만원이 투입된다. 하천유지관리(전환사업) 19억3218만원, 하천.계곡 지킴이 운영(도비) 2억원, 당현소하천 정비사업(전환사업) 3000만원, 주요하천변 자동차단시스템 구축사업(도비) 3억6000만원, 교포천 태양광 LED조명 설치(주민참여) 9000만원, 통복천 징검다리 이정표 및 안전봉 설치(주민참여) 5100만원, 안성천 억새길 산책로 LED등기구 교체(주민참여) 5600만원 등을 편성했다.

맑고 깨끗한 수질 만들기를 위한 예산으로 30억321만원을 책정했다. 구체적으로 비점오염저감시설 운영 2억800만원, 진위천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사업(국비) 9250만원, 하천·하구 쓰레기 정화 3800만원, 유입하천 오염원 관리 6880만원, 통복천 생태하천 복원사업(도비) 10억원, 통복위생처리장 위탁 관리운영 8억7000만원, 통복위생처리장 정비사업 3억3820만원, 오산시위생환경사업소 위탁처리비용 지급 3억6043만원, 등을 편성했다.

수변도시 브랜드 창출을 위해 43억8000만원을 편성했다. 세부적으로 오성강변 르네상스사업 추진 40억원, 오성강변 르네상스 축제(봄, 가을) 8000만원, 평택강 브랜드 활성화 3억원 등을 사용한다.

특별회계는 산업단지공공폐수처리시설특별회계로 362억5038만원이 편성되었으며, 현곡공공폐수처리시설 민간위탁금 12억6075만원, 고덕공공폐수처리시설 민간위탁금 278억541만원, 공공폐수처리시설 시설복구사업 40억6950만원 등이 편성됐다.

 

■식품정책과

식품정책과는 식품·공중위생 관리 업무를 맡으며 올 해 예산은 16억3730만원이다. 지역 급식관리지원센터 운영 12억8571만원, 위생업소 관리 강화 3881만원, 위생업소 및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업소 관리 3500만원 등이 편성됐다.

 

푸른도시사업소 

푸른도시사업소의 올해 예산은 677억9716만원으로 지난해 예산 584억7799만원 보다 93억1916만원이 증가했다. 부서별로는 산림녹지과 115억5420만원, 공원과 462억6668만원, 녹색건축사업과 99억7628만원이 편성됐다. 산림녹지과와 녹색건축사업과 예산은 지난해와 비슷하나 공원과 예산은 지난해에 비해 91억1893만원이 증가했다.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 17억7684만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15억2290만
푸른 도시숲 관리 19억6790만
쾌적한 공원관리 204억5830만
장기미집행공원 지방채 이자상환 23억
모산 은실공원 지방채 원금(일부)상환 202억

■산림녹지과

산림녹지과는 산림보호관리와 산림자원 조성관리, 깨끗하고 쾌적한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 푸른 도시숲 조성 업무를 담당한다. 올해 예산 115억5420만원을 살펴보면, 우선 늘푸른 산림자원 조성에 22억7796만원이 사용된다. 세부적으로 산림재해일자리(단기)(산불전문예방진화대)(국비) 4억6739만원, 산불진화헬기 임차비 4억원, 산불감시원 인건비 1억2216만원, 소나무재선충병 예방사업(도비) 2억2260만원, 보호수 관리 7796만원, 숲길조성관리(도비)(전환사업) 9550만원, 산림자원 조성관리 1억9370만원 등이다.

아름답고 깨끗한 가로녹화를 위해 28억7713만원이 사용된다. 장기미집행 녹지조성 2억원,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 17억7684만원, 가로숲길조성사업(도비)(전환사업) 9000만원, 가로화단 조성사업 3억1029만원, 생활환경숲 조성사업 1억5000만원 등이다.

푸픈 도시숲 조성 및 관리를 위해 57억9167만원이 편성됐다.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 8억원, 도시숲조성 3990만원, 학교숲 조성 9000만원, 쌈지공원 조성(2개소) 1억5000만원, 시민참여 나무심기 및 가꾸기 1억5025만원, 경기도 마을정원 조성(도비)(전환사업) 4억5000만원, 시민참여 정원 조성 1억8822만원, 평택도시숲 시민학교 4999만원, 행복정원 조성 및 행복정원단 운영 1억8250만원, 2025 경기정원문화박람회 개최 15억2290만원, 평택 1번국도변 가로수정비사업 (주민참여) 2억원, 푸른 도시숲 관리 19억6790만원 등이 사용된다.

 

■공원과

도시공원 조성과 운영, 공원관리 등의 업무를 맡는 공원과의 올해 예산은 462억6668만원이다. 우선 도시공원 조성 사업에 8억5937만원을 투입한다. 송탄(지산초록) 근린공원 조성 5억원, 서정근린공원 무장애길 조성(주민참여) 2억원 등이 사용된다. 공원 운영 분야에는 15억9540만원이 사용된다. 소풍정원 캠핑장 운영 2억5260만원, 학현네트어드벤처 운영 4182만원, 함박산중앙공원 특화시설운영 1억9994만원, 공원특화시설운영 1억5476만원, 공원정보시스템 DB구축 1억160만원, 공원물놀이터운영 4억4140만원, 유아숲교육운영 지원(국비) 1억5000만원, 유아숲체험원 조성(도비)(전환사업) 1억4800만원 등이다.

아름답고 쾌적한 공원관리를 위해 204억5830만원이 투입된다. 우선 권역별 공원 관리에는 남부 74억6469만원, 북부 73억2390만원, 서부 36억4103만원이 투입되며, 공원 호수(저수지 등) 수질개선 9억6696만원, 공원 노후시설 개선사업 3억2400만원, 함박산중앙공원 음악분수구간 경관조명 설치(주민참여) 2억9600만원, 고덕수변공원 장미정원 조성(주민참여) 8650만원, 함박산 맨발걷기길 조성(주민참여) 3억원 등이다. 또한 장기미집행 공원 지방채 이자상환을 위해 23억5500만원을 지출하고, 장기미집행 공원 지방채 이자상환(19년발행)1억1760만원, 모산근린공원 지방채발행 이자상환(2024년 발행분) 5억531만원, 2019년,2020년,21년 모산, 은실공원 지방채 발행 원금(일부)상환 202억4000만원 등을 편성했다.

 

■녹색건축사업과

공공건축사업을 운영하는 녹색건축사업과 예산은 99억7628만원으로 세교동 행정복지센터 건립에 35억700만원, 청사건립기금 전출금 60억, 세교동행정복지센터 건립 이자상환 2억7000만원 등을 지출한다.

 

상하수도사업소

상수도특별회계 1934억9739만
하수도특별회계 1088억9538만

상하수도사업소 예산은 3074억5322만원으로 일반회계가 50억6000만원, 공기업특별회계가 3023억9277만원이다.

일반회계 예산은 하수도 공기업특별회계 자본전출금 50억52만원으로 거의 전액 지출되며,

상하수도공기업특별회계 3023억9277만원 가운데 상수도특별회계는 1934억9739만원이고 하수도특별회계는1088억9538만원이다. 상수도특별회계 1934억9739만원을 사업부서별로 살펴보면, 관리과 148억6549만원, 수도계획과 342억9998만원, 수도시설과 1443억3184만원이 편성됐다. 하수도특별회계는 하수과 예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