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상반기 평택에서 음식점 1012개가 사라졌다
평택시 폐업률 7.11%로
경기도에서 세번째 높아
경기침체 장기화로 개업보다
폐업이 더 많아질 수 있어
지역 화폐 예산 확대 등
평택시의 적극적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이 필요한 때
경기 침체와 고물가 등으로 적자를 견디지 못해 문을 닫는 소상공인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음식점의 경우 개업보다 폐업이 더 많아질 것으로 예상돼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월 13일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에 따르면 경기도 내 소상공인 점포 수는 2020년 상반기 44만7259개에서 2024년 49만3413개로 증가했다.
문제는 지난해부터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폐업률이 개업률을 앞질렀다는 것. 개업 점포 수는 2020년 3만4188개에서 2024년 3만3213개로 감소했고, 폐업 점포 수는 2022년 2만1753개에서 2024년 상반기 3만3555개로 대폭 증가했다. 개업 대비 폐업 비율은 2022년 0.59에서 2024년 1.01로 상승했다. 비율이 ‘1’을 넘어서면 새로 문을 여는 점포보다 문을 닫는 점포가 더 많아졌음을 보여준다.
평택시의 경우 2024년 상반기 기준 폐업률은 7.11%로 도내에서 하남시(7.33%), 화성시(7.12%)에 이어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났다. 개업률은 8.1%로 집계돼 개업하는 점포가 조금 더 많았다.
음식점·패스트푸드점·주점 등 음식업으로 좁혀보면 지난해 상반기 1058곳이 새로 문을 열었고 1012곳이 문을 닫았다. 개업률은 10.7%로 폐업률 10.3%를 근소하게 앞섰으나 하반기에 경기 침체가 심화한 것에 비춰볼 때 조만간 폐업률이 더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올해도 폐업 사업자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면서 평택시가 소상공인·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적극적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목소리가 뒤따른다. 대표적으로 지역화폐 예산 확대가 제시되고 있다. 이은우 평택시민재단 이사장은 지난 9일 자료를 내고 “평택시는 지역화폐 예산 확대와 골목상권 회복을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정장선 평택시장이 지난해 12월 17일 ‘경제 안정 종합대책 방안’을 발표하며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평택시의 역량을 총집중하겠다”고 했으나 실제 투입된 지역화폐예산이 기대에 못 미쳤다는 평이다. 평택시민재단이 경기도의회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평택시의 2025년 지역화폐 지원예산은 25억1500만원으로 도내 50만 이상 대도시에서는 꼴찌에 수렴됐다. 2024년에는 시비 50억3000만원을 썼는데 도내 11위, 50만 이상 대도시 중에서 하위권 수준이었다.
이은우 이사장은 “지역화폐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며 12월 추경에서 증액까지 했다는데 결과는 ‘언발에 오줌누기’ 수준으로 평가할 수 있다”며 “생색내기가 아닌 평택의 소상공인·시민을 위해 재정 지원이 꼭 필요한 곳, 경기 부양에 확실한 효과가 있는 곳에 예산을 집중하여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숨통이 트이길 희망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