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덕면 주민들 “초대형 폐기물 매립시설 전면 중단하라”
28일 범시민대책위 기자회견
“살기 좋은 500년 농촌마을에
폐기물 소각장·매립장이 웬말?”
지역 농산물 인식은 나빠지고
현덕면 고립·낙후될 수밖에···
평택시가 현덕면에 초대형 폐기물 매립시설 건립을 추진하는 계획이 알려지면서 평택 서부지역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현덕 폐기물처리시설 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대책위)는 5월 28일 오전 시청 앞에서 폐기물 매립시설 추진 전면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평택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30년까지 1조922억원을 들여 현덕면 대안리 52만4000㎡, 기산리 27만5000㎡ 등에 80만㎡ 규모의 환경복합시설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복합시설은 소각시설과 매립시설로 나누어 생활폐기물뿐 아니라 사업장·지정 폐기물까지 처리하게 된다. 소각시설에서는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 250톤, 사업폐기물 300톤 등 모두 550톤을 처리한다. 31만3185㎡ 규모로 계획된 매립시설에선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 175톤과 사업장폐기물 250톤, 지정폐기물 50톤 등 525톤을 매립하며 32년 동안 폐기물 466만4000톤을 처리할 계획이다.
이런 계획에 주민들은 “소각시설과 매립시설이 들어설 부지로 언급된 곳은 평택호관광단지 바로 옆에 위치한 청정 농경지로 평택시가 잘 보존하고 가꾸어나가야 할 지역”이라며 “초대형 폐기물 매립시설을 추진하면 지역 농산물 인식이 악화되고 주변 평택호관광단지에 악영향을 미쳐 현덕면은 고립·낙후될 수밖에 없다”고 반발했다.
인효환 평택호관광단지개발 보상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산업·지정 폐기물 매립시설이 들어서면 48년간 미뤄져온 평택호관광단지 개발은 멈출 수밖에 없다”며 “평택의 젖줄인 평택호 수질오염을, 서부지역의 미래를 위해 현덕면 주민들이 똘똘 뭉쳐 막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안4리 주민 공병인씨는 “500년 전 형성된 대안4리는 아주 질 좋은 쌀을 생산하는 들판이 있는 농촌마을이고 인근 마안산·평택호는 많은 시민이 찾아오는 힐링 장소”라며 “이렇게 좋은 곳에 폐기물 소각장·매립장을 만들어 어쩌겠다는 것인지 이해할 수가 없다”고 밝혔다.
이날 대책위는 “시는 시민건강에 대단히 위협적이고 시민의 거센 반발을 가져올 폐기물 처리시설 입지 선정을 밀실에서 용역을 통해 결정하고 그 결과를 시의회 간담회장에서 갑작스럽게 발표했다”면서 “밀실·불통행정, 그리고 시민건강은 안중에도 없는 행정”이라고 규탄했다. 그러면서 “시는 개발과 확장이 아닌 내실 있는 살기 좋은 도시로의 발전으로 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며 “수도권 최남단 도시로서 시민 삶의 질을 어떻게 담보하고 향상시킬지 함께 숙의하고 힘을 합쳐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평택시
이장단·기관단체장 대상으로
주민설명회 2회 개최 예정
“정확하고 투명하게 사실 알려
주민 오해 바로잡고
사업 추진상황·내용 모두 공개”
이에 대해 시는 현덕면사무소에서 5월 31일 현덕면 이장단을 대상으로, 6월 3일 현덕 기관·단체장을 대상으로 각각 주민설명회를 열고 필요하면 계속 설명회를 열어 사업 추진 상황과 내용을 모두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시 자원순환과 관계자는 “농번기로 주민을 만나기 어려워 충분하게 설명드리지 못했다”며 “주민이 우려하는 환경오염 방지 대책과 계획, 주민 요구·편의시설 계획 등을 정확하고 투명하게 알려 주민 오해를 바로잡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