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25개 읍면동에서 민주당 17곳, 국민의힘 7곳 앞서

2024-04-17     김윤영 기자

특집 총선으로 본 평택 민심① 

 

제22대 총선 평택 표심 분석

 

민주당 갑을병 선거구 싹쓸이
국민의힘 지지했던 읍면동
상당수 민주당 지지로 선회,
우세지역 지지율 차는 커져

윤석열 정권에 대한 평택 유권자의 평가는 단호하고 냉랭했다. 제22대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진 3개 선거구에서 모두 더불어민주당 후보(갑 홍기원, 을 이병진, 병 김현정)가 당선됐다. 국민의힘은 단 1석도 얻지 못했다. 평택시는 경기 남부 ‘반도체 벨트’로 분류돼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세번이나 방문했을 정도로 ‘공을 들인 곳’이었지만 평택 유권자들의 표심을 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이는 읍면동별 득표수에서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평택시 25개 읍면동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앞선 곳은 17곳이었고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이 앞선 곳은 7곳에 그쳤다. 나머지 1개 동인 통복동은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의 득표수(1119표)가 같았다. 4년 전 21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이 8곳에서, 미래통합당이 15곳에서 각각 앞섰던 것에 비교하면 확연한 차이가 난다.

민심 이동도 두드러졌다. 읍면동 득표율을 종합해 보면 민주당은 52.26%로 21대 44.51%에서 7.75%포인트 상승한 반면 국민의힘은 21대 50.02%에서 4.35%포인트 낮은 45.67%를 기록했다.

22대 총선 결과를 놓고 민주당 지지세가 강화됐다고 평가하기에는 섣부른 측면이 있다. 민주당을 지지해서 표를 줬다기보다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실망으로 ‘정권 심판’ 민심이 평택 전역에 작동했기 때문으로 풀이하는 견해가 많기 때문이다.

 

정책 대결 실종 ‘조용한 선거’

22대 총선에서 이종섭 대사와 황상무 전 수석 논란, 윤석열 대통령의 대파 875원 발언 등이 이어지며 ‘정권 심판론’에 불이 붙었다. 집권 여당은 이·조(이재명·조국) 심판론을 내세우며 맞섰다, 거대 양당의 극심한 대립 속에 인물·정책·공약 대결은 사라졌다.

평택도 크게 다를 바 없었다. 여야 후보들은 기자회견·간담회를 열어 유권자 요구에 부응한 개선점이나 공약을 제시했고 정책홍보 자료도 꼬박꼬박 냈다. 하지만 새로운 정책이나 현안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거나 유권자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화 작업은 찾기 어려웠고 상대 후보나 상대 정당의 정책에 각을 세우는 날카로운 비판도 매우 드물었다. 거의 모든 후보가 GTX A·C 노선 평택 연장, 반도체산단 조성 같은 ‘한 김 빠진’ 공약을 내놓았고, 평택시가 추진 중인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같은 환경 현안을 쟁점으로 부각하지 않았다. 유권자가 왜 이 정당을, 이 후보를 선택할지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에는 대통령의 ‘대파 발언’만큼 강력하지 못했다.

 

득표율 21대와 비교했을 때
민주당 52.26%…7.75%p↑
국민의힘 50.02%→45.67%

투표율 경기도·전국 최저 수준

조용하게 치러진 선거가 평택 유권자들의 ‘선거 무관심’을 부추겼던 것일까. 전국 총선 투표율(67.0%)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평택시 투표율은 59.9%로 경기도·전국에서 최저 수준으로 집계됐다. 21대 총선 투표율 58.9%보다 1%포인트 오르긴 했으나 경기도 내에서 가장 낮고 전국에서는 천안시 서북구(59.3%), 구미시(59.7%) 다음으로 낮다.

선거구별 투표율은 병선거구만 62.20%로 60%를 넘겼고 갑선거구(58.75%), 을선거구(58.61%)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갑선거구에서는 서탄면(63.62%), 통복동(61.44%), 세교동(59.03%) 순으로 투표율이 높았고 지산동(47.67%), 신장1동(49.30%)은 50%를 넘기지 못했다. 을선거구에서는 현덕면(67.11%), 오성면(62.29%)이 60%가 넘는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으며 포승읍이 51.67%로 가장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병선거구에서는 비전2동(62.48%), 용이동(61.96%), 비전1동(60.06%) 순으로 투표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신평동의 투표율은 52.38%로 가장 낮았다.

 

일찌감치 승부 가른 사전투표

22대 총선의 평택시 사전투표율은 25.46%로 21대 총선(20.90%)보다 4.56%포인트 높아졌다. 사전투표율 상승은 결과적으로 민주당에 유리하게 작용했다. 민주당은 관외 사전투표는 물론이고 현덕면을 제외한 24개 읍면동 사전투표에서 승리하며 국민의힘 후보와의 격차를 벌렸다.

평택갑에서는 민주당 홍기원 당선인이 관외 사전투표 3107표 차를 비롯해 모든 읍면동에서 한무경 국힘 후보보다 12~1762표 차로 앞질렀다. 사전투표 4만2429표 중에서 홍 후보는 2만6277표(61.93%)를, 한 후보는 1만5705표(37.01%)를 각각 득표했으며 두 후보 간 표 차는 1만572표였다. 본투표에서는 홍 후보가 5만5213표 중 2만9015표(52.55%)로 2만5380표(45.97%)를 얻는 데 그친 한 후보를 3635표 차로 앞질렀다.

평택을의 경우 사전투표에서 승패가 갈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민주당 이병진 후보는 사전투표 3만9886표 중에서 2만3399표(58.66%)를 얻었고 국민의힘 정우성 후보는 1만109(40.39%)를 득표했다. 두 후보 간 표 차인 7290표는 최종 7801표에서 511표 적은 수치다. 본투표에서는 이병진 당선인이 5만2737표 중에서 2만6161표(49.61%), 정우성 후보는 2만5778표(48.89%)를 각각 얻었다.

평택병에서도 민주당 김현정 당선인이 사전투표에서 승기를 잡았다. 사전투표 개표 결과 4만4489표 중에서 김현정 당선인이 2만5915표(58.25%), 국민의힘 유의동 후보가 1만6787표(31.73%), 새로운미래 전용태 후보가 1445표(3.25%)를 각각 얻었다. 1,2위간 표 차는 9128표였다. 본투표에서는 김현정 당선인이 2만9644표로 유의동 후보가 얻은 2만9042표를 602표의 근소한 차로 따돌렸다.

 

 

조국혁신당 3위 21.89% 돌풍

평택지역 비례대표 득표율을 확인한 결과 조국혁신당의 돌풍과 정의당의 몰락이 눈에 띈다. 평택시 비례대표 투표 결과를 살펴보면 국민의힘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가 32.94%(9만8262표)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민주당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28.89%(8만6189표), 조국혁신당 21.89%(6만5307표)로 2,3위에 올랐다. 그 뒤를 개혁신당 3.13%(9324표), 자유통일당 2.41%(7188표), 새로운미래 1.79%(5341표), 녹색정의당 1.72%(5137표)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국혁신당은 윤석열 정부의 실정에 분노하고 민주당 공천에 실망한 평택 민심에 파고들어 20%가 넘는 지지율을 확보했다. 25개 읍면동에서 더불어민주연합과 조국혁신당의 표를 합한 수치가 민주당 후보가 얻은 표와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민주당 후보를 찍은 유권자들이 비례대표를 뽑는 정당투표에선 더불어민주연합 또는 조국혁신당으로 선택지를 넓힌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민의미래가 얻은 표는 국민의힘 후보 3명이 얻은 표를 더한 11만5016표보다 2만8827표 적다. 선택지가 많지 않던 보수표와 민주당에 대한 반감 표가 지역구 선거에선 국민의힘 후보 쪽으로 집결했고,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개혁신당과 자유통일당, 새로운미래 등으로 분산된 것으로 풀이된다.

또 하나 눈에 띄는 것은 녹색정의당의 몰락이다. 평택지역 녹색정의당 득표율은 전국 득표율(2.14%)보다 낮을 뿐 아니라 4년 전 총선 당시 8.8%보다 7.08%포인트나 떨어졌다. 정의당은 평택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저조한 정당투표 득표율로 비례대표와 지역구 합해 ‘0석’이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뒀고 2012년 창당 이후 12년 만에 원외 정당으로 밀려나게 됐다.

 

늦어진 선거구 획정 꼭 기억해야

늦어진 선거구 획정은 꼭 기억해야 할 대목이다. 선거구 획정이 선거를 코앞에 두고 치러지다 보니 유권자들이 후보가 누군지도 모르고 있다가 선거일이 다가오고 나서야 후보 이름과 얼굴을 알게 되는 상황이다. 22대 총선에서 평택시 선거구가 갑·을 2개에서 갑·을·병 3개로 분구되다 보니 많은 유권자는 자신이 어느 선거구에 속하는지, 우리 지역 후보가 누구인지 알지 못해 혼란을 겪어야 했다. 이런 상황이 반복되면 유권자의 정치적 무관심을 심화되고 정치 신인의 등장을 갈수록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22대 국회에서 이를 해결해 23대 총선에서 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제대로 된 일꾼을 가려낼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