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천 정상화와 상수원보호구역 보존” 촉구

2024-01-24     김윤영 기자

19개 시민·환경단체 기자회견
특별재난구역 선포 등 요구

근본적 수질개선 대책 없이
상수원보호구역 조정 불가

내평택시는 시의회·시민사회와 
협력관계 구축해 함께 나가야

평택의 시민·환경단체들이 유해물질 유입으로 오염된 관리천의 조속한 정상화와 송탄·유천 상수원보호구역 보전을 촉구하고 나섰다.

서평택환경위원회·평택환경행동·평택시발전협의회 등 19개 단체는 1월 18일 평택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송탄·유천 상수원보호구역 존폐와 화성·평택 관리천 오염으로 시민의 환경권과 생명권에 대한 우려와 관심은 어느 때보다 높다”며 “정부와 관계 당국은 평택시가 요구하는 특별재난구역 선포를 통한 범정부적 대응과 지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관리천 조기 정상화를 위한 특별재난구역 선포, 경기도의 관리천 수질 회복을 위한 적극 대응, 정부와 소방당국의 화재사고 매뉴얼 정비를 요구했다. 

하정협 평택대 시스템융합공학과 교수는 “에틸렌다이아민은 천식을 유발할 수 있어 문제가 될 수 있는 물질”이라며 “어떤 물질이 유출돼 어떤 문제를 야기할 것인지부터 파악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상수원보호구역 보존과 관련해 이들 단체는 근본적인 수질 개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짚었다. 전명수 평택시민환경연대 공동대표는 “고덕산단과 안성천 수계에 들어섰거나 들어설 반도체공장에서 하루 150만톤의 폐수가 방류되면 환경재앙이 우려된다”며 “반도체 폐수에 섞여 배출되는 화학물질의 안전성 확보와 수질 개선 대책을 수립해 시민의 건강권과 생명권을 지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동훈 평택시발전협의회장은 “정부의 대안 제시도 없이 용인반도체산단에 접한 송탄상수원보호구역을 해제할 수 있다는 평택시장의 발언에 개탄을 금할 수 없다”며 “평택의 발전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 평택시·시의회 그리고 시민사회가 협력관계를 구축해 함께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