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면 주민들 “지제역세권 공공주택 추진 철회하라”

2023-07-12     김윤영 기자

8일 비상대책위원회 발대식 
지제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수용방식 받아들일 수 없어

주민재산권 지키는 투쟁 시작
철회 요구하는 주민 목소리를 
국회·국토부에 전달할 계획 

지제역세권 공공주택 비상대책위원회 발대식이 7월 8일 고덕면행정복지센터에서 주민 300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됐다. 

정부의 평택지제역세권 공공주택지구 개발계획과 관련해 해당지역 주민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어 파장이 예고된다.

지제역세권 공공주택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가 7월 8일 고덕면행정복지센터 대회의실에서 발대식을 개최하고 정부의 공공주택지구 계획 철회를 촉구하는 투쟁을 선언했다.

이날 발대식에는 지제역세권 공공주택지구 예정지구인 고덕면 방축 1~5리와 지제2동에 거주하거나 토지를 소유한 주민 300여 명이 참석했으며 비대위 위원장에 전직 경찰공무원인 전우현씨가 선임됐다.

전우현 비대위원장은 “정부와 LH는 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진행하는 공공주택지구 계획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와 LH가 추진하려는 토지수용 방식은 주민 의견을 수렴하지 않은 일방적이고 불합리한 처사”라며 “삶의 터전을 강제로 빼앗고 시세보다 헐값으로 보상하며 보상가의 약 30% 수준의 양도소득세를 요구하는 것이므로 절대로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발대식에 참석한 이기형 평택시의원은 “평택시의원들과 협력해 주민의견을 대변하고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참석한 주민들은 정부의 일방적인 발표에 분노하면서도 막막함을 감추지 못했다. 60대 주민 A씨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것 같다”면서 “환지 방식으로의 개발을 바랐는데 정부의 일방적인 수용 방식 발표에 하루하루 불안하다”고 토로했다.

비대위는 이날 발대식을 시작으로 주민 재산권을 지키는 투쟁을 본격적으로 전개하고 공공주택지구 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주민 목소리를 국회·국토부 등에 전달할 계획이다.

앞서 국토교통부는 6월 15일 평택시 지제동과 고덕면 방축리 일원 부지 453만1000㎡에 고덕일반산단과 브레인시티 일반산단 배후 주거지로 주거와 일자리, 교육·문화・의료 등 도시 기능을 갖춘 ‘자족형 콤팩트시티’를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사업시행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이고 수용방식으로 개발되며 2024년 지구 지정, 2025년 지구계획 승인 등을 거쳐 2026년 착공해 2033년 완공할 계획이다.

문제는 이러한 계획이 주민 의견 수렴 등의 절차 없이 추진됐다는 점이다. 평택시가 6월 19일 언론브리핑을 열어 토지주와 사업주의 현실적인 생계보상대책과 주민 재정착 방안을 마련해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으나 논란을 잠재우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