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평택 연장’ 위해 평택시·정치권 분주

2021-05-12     김윤영 기자

국토부, 21일 민간투자 제안서 마감
‘민간 추진’하면 연장 검토할 수 있어

 

국토부장관 후보자, 홍기원 의원 질의에
“특성 따라 기준 유연하게 접근” 답변

 

‘GTX-C노선 평택 연장’을 성사시키기 위한 평택시와 정치권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5월 11일 평택시와 홍기원 국회의원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12월 GTX C노선에 대한 사업 기본계획을 고시하면서 노선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수원~양주 덕정으로 결정했다. 그러면서 평택시와의 협의에서 민간사업자가 연장 사업을 추진한다면 실시협약의 변경을 협의해 평택 연장의 승인을 검토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리고 해를 넘겨 민간사업자의 투자 제안서 제출이 5월 21일까지로 임박했다.

이에 평택시는 민간사업자가 선정되는대로 경기도·화성시·오산시 그리고 지역 국회의원이 참여한 공동협상단을 꾸려 C노선의 평택 연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지난해 6월 완료된 ‘평택철도교통망 구축을 위한 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 GTX-C 노선 연장사업은 연평균 241억원, 30년간 전체 7236억원의 운임수입이 발생해 R/C비(수익비용비)가 1.26으로 경제적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함께 특별시·광역시의 중심지점에서 40㎞ 이내까지만 광역철도를 만들 수 있도록 한 제도적 걸림돌을 없애는 데도 적극 나서고 있다. 평택시의 경우 꾸준한 인구 상승으로 C노선 연장의 당위성이 제기되고 있음에도 강남부터 평택까지의 거리가 53km여서 광역교통망 대상에 포함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홍기원(더불어민주당·평택시갑) 국회의원은 5월 4일 열린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 인사청문회에서 노 후보자에게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대광법) 개정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날 노형욱 후보자는 광역철도 거리기준에 대한 견해를 묻는 홍기원 의원의 질의에 “광역철도 특성에 따라서 기준을 유연하게 접근해야 된다”며 “그런 방법과 가능성에 대해 현재 용역을 진행 중이고 이를 바탕으로 올 하반기 계획 수립에 참고하겠다”고 답해 시행령 개선의 의지를 보였다.

홍 의원은 “정부는 ‘정량적’인 현행 기준을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40km 거리기준만 고집하지 않고 지역별로 생활여건, 출퇴근 상황·패턴을 고려하는 ‘정성적 평가’ 기준을 새롭게 반영하면 GTX C노선 평택연장 등 광역교통망 편성이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GTX C노선은 수원~삼성동~청량리~양주 덕정 간 74.2km 구간을 잇는 광역철도로 올해 착공해 2024년 완공될 예정이다. 평택 연장은 GTX C노선과 경부선을 이용해 수원역~병점역(화성)~오산역~지제(평택) 29.8km를 연장 운행하는 방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