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규 평택항되찾기 범시민운동본부 상임공동대표
평택시민의 애향심과 저력 느끼게 해 준 서명운동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평택항 신생매립지 관할권과 관련하여 4월 13일 최종 결정할 것으로 예고된 가운데, 평택항되찾기 범시민운동본부가 26일부터 평택역 광장에서 범시민 서명운동에 돌입했다. 서명운동을 독려하고 있는 김찬규 상임공동대표에게 그 의미를 들어봤다.
평택역 광장 서명운동
서명운동은 평택역 광장에서만 진행한 것이 아니다. 범시민운동본부 임원진을 중심으로 지난달 26일부터 평택역 광장에서 서명을 시작하자, 이·통장협의회 등 평택지역 여러 시민단체들이 자연부락과 평택전역에서 동시에 서명운동에 동참했다. 5일 만인 지난 30일에 15만 명을 넘기는걸 보면서 평택시민의 애향심과 저력을 느꼈다. 행정조직의 독려 없이 이런 성과를 낸 것은 그만큼 ‘평택항 경계에 대한 평택시의 입장이 맞다, 정당성이 있다’는 걸 말해주는 것이다.
그동안 공개 대응을 자제해 왔었는데
지역자치단체 간 경계문제는 자칫 지역이기주의로 비춰질 수도 있고, 이웃한 지역과 반목과 갈등을 낳을 수 있다는 점에서 가급적 공개 대응을 자제하면서 이론적, 법리적 대응을 해 왔던 건 사실이다. 그러나 당진·아산시가 서명 운동도 하고, 시의회가 성명서도 채택하면서 행정자치부를 방문하는 등 공개적인 행보를 이어가면서 자칫 정치적으로 결론날 것을 경계하기 위해 공개 대응에 나섰다. 당진·아산 시민들은 적극적으로 의견을 개진하는데, 평택이 너무 조용하면 평택항 경계분쟁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행자부가 오판할 수도 있겠다 싶었다. 그런 차원에서 평택 시민들의 의사를 드러내기 위해 서명 운동을 시작했다.
시의회 대응 유감
평택역은 서울·부산·대전 등 전국 각지에서 사람들이 이용한다. 서명에 평택시민만이 아니라 전국각지 사람들이 호응해 줬다. 유인물을 보고 직장인들이나 학생 할 것 없이 다들 운동본부 텐트를 제 발로 찾아와 서명해 주곤 했다.
한편, 평택시의회는 지난 19일 제174회 평택시의회 임시회에서 ‘평택.당진항 매립지 귀속자치단체의 조속한 결정 촉구 건의안’을 채택했다. 그런데 임시회가 끝나는 날부터 시작한 서명운동을 잘 알고 있는 시의회가 30일 해남으로 시의원들과 시의회 직원들 모두가 실무·자질교육을 위한 세미나를 떠났다.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평택항 신생매립지 관할권 관련하여 4월 1일에 마지막 분과회의를 한다. 우리가 서명운동을 할 수 있는 기한이 3월말까지라는 건 상식적으로 유추해 볼 수 있는 일이다. 아무리 예정돼 있던 일정이라 해도 이런 일은 시민단체가 앞장서기 전에 시의원들이 앞장섰어야 할 일인데, 결의서 채택했다고 생색만 내고, 정작 중요한 일을 뒤로 하고 밖으로 나간 건 유감스럽다.
평택항 내항 매립지는 평택시 관할이 상식이고 순리
평택항 내항 매립지는 도로·교통·상하수도·통신 등 모든 기반시설이 평택을 통해 설치되고 있다. 관리 운영도 평택시를 통해서만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편리하게 되는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서부두를 포함한 내항 매립지는 당연히 평택시 관할이 되야 한다. 중앙분쟁조정위원회가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매립지의 매립목적,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현명한 판단을 내릴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