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연 평택교육장
주요 과목 성적으로 획일적인 평가 삼가야
김기연 평택교육장, 다양한 개성과 재능계발 시스템 필요
국제도시 평택 위상 맞게 교육계 혁신 일어나야
“각 학교 교장을 중심으로 교육 행정이 원활하게 교류되고 펼쳐질 수 있도록 교육계 전반의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올해 3월 초 경기도평택교육지원청으로 부임한 김기연 교육장의 말이다.
“농업과 국제무역, 세계문화 교류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고 있어 잠재력이 무한한 도시 평택, 교육 또한 이러한 현재 흐름에 앞장 서 나가기 위한 발전과 혁신이 절실히 필요한 때입니다. 누구나 한 가지 일에 매진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고정관념이라는 것이 자기 안에 자리잡게 되죠. 다시 말해, 특정분야에 대한 관록 또는 노하우가 생긴다고 해도 좋겠지요. 하지만, 이 고정관념이 자신의 전문 분야에 대한 귀한 경험으로서가 아니라 고집이 돼 버린다면, 이처럼 고약한 것이 없겠지요. 실수야 없겠지만 반면, 새로운 미래에 대한 변화를 두려워하게 되는 겁쟁이가 되고 말겠죠.”
기성세대의 의견도 존중해야 하지만, 젊은 세대들의 다소 튀는 아이디어도 투명하게 수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김기연 교육장, 국제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평택의 교육계에도 전반적인 혁신이 일어나야 한다고 말한다.
“발전과 혁신, 참 좋은 말이죠. 그러나 이것이 과거의 그림자 안에 붙들려 있으면 아무 소용이 없겠죠. 새로워야 하고 다채로워야 합니다. 우리 아이들의 다양한 개성과 재능을 다각적으로 받아들이고 계발할 수 있는 연계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공부를 잘하는 학생이 있으면, 획기적인 발명품 개발에 소질이 있는 아이도 있죠. 노래를 잘 하는가 하면, 자동차 조립에 관심이 많을 수도 있구요. 이렇게 독특함을 갖고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을 단지 주요 과목 성적으로 획일적인 평가를 하는 것은 현재의 국제 정세와도 맞지 않습니다.”
또한 김 교육장은 학생 한 명 한 명과 가장 가깝게 지낼 수 있는 있는 사람은 각 학교 교장이기에, 학교장들의 자유로운 교류와 소통을 통해 다양한 의견들을 수렴하고 이를 제도화 하는 것은 물론,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 각 분야의 해당기관들이 연계돼 아이들이 자신만의 꿈을 찾고 이뤄나가도록 아낌없이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연 교육장은 1953년 서울 출신으로 한국방송통신대와 인천교대 초등교육과, 인하대 교육행정대학원을 졸업했다. 1971년 부천 대명초교에서 교직을 시작한 후 부천 중원초교 교감, 여주초교 교장, 여주 점동초교 초빙교장, 부천 상인초교 교장을 역임했다.